넷플릭스의 시대
넷플릭스는 어떻게 플랫폼 제국이 되었나?
세계 최강의 플랫폼 제국,
넷플릭스의 미디어 전략을 파헤치다!
작가의 말
진정 넷플릭스의 시대다. 한국 시장은 넷플릭스가
대규모 스케일의 계획을 재생산할 수 있다고 믿는 곳이다!
코리 바커(브래들리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책 소개
1997년 비디오와 DVD를 우편과 택배로 대여하는 서비스로 시작한 넷플릭스는 인터넷net과 영화flicks라는 이름에 걸맞게, 2007년 인터넷 스트리밍 영화사업을 확장했다. 2019년 전 세계 190여 개 국가에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2019년 상반기 집계된 넷플릭스 가입자만 해도 1억 4,8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넷플릭스는 이제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강 미디어 플랫폼의 제국이 된 것이다.
넷플릭스의 콘텐트 경영이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통일된 콘텐트 저장물 없이도 전 세계의 각기 다른 이용자의 욕망을 사로잡고 어필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 또 각양각색의 프로그래밍과 이용자를 정교하게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구매하거나 개발하는 데 투자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세하게 타깃화된 이용자 그룹에게 세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 책은 전 세계 젊은 학자들과 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미디어 생태계의 파괴자이자 새로운 제도로서, 콘텐트 생산자이자 배급자로서, 그리고 내로우캐스팅으로 표현되는 개인화 서비스와 현지화라는 글로벌 행위자로서 넷플릭스의 위치에 대해 해명한다.
인디애나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학과와 문화학과의 박사과정을 거치고 현재 브래들리대학교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연구는 텔레비전과 소셜미디어의 교차점, 특히 현대 텔레비전 네트워크가 어떻게 핵심적인 산업적 전략의 재확정을 위해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의 작업은 《Television & New Media》, 《The Popular Culture Studies Journal》, 《The Projector》 등에 수록되었다.
목차
한국어판에 부쳐
옮긴이의 글
프롤로그 : 넷플릭스, 새로운 미디어 유전자
1부 파괴자이자 문화적 제도로서 넷플릭스
Chapter 1 주시청 시간대에서 모든 시간대로: 스트리밍 비디오, 시간리듬, 공동체 텔레비전의 미래 ? 저스틴 그랜디네티
Chapter 2 과잉의 용어들: 넷플릭스 시대, 서사극적 시청으로서 몰아보기
? 조이미 베이커
Chapter 3 스트리밍 문화: 인터넷의 원심력적 발전과 불확실한 디지털 미래
? 조셉 도니카
2부 생산자이자 배급자로서 넷플릭스
Chapter 1 복역하기, 퀴어의 시간성과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 마리아 산 필리포
Chapter 2 넷플릭스와 <못말리는 패밀리>의 혁신적인 서사구성
? 마리아 비안치니 & 마리아 카르멘 야콥 드 수자
Chapter 3 <더 스퀘어> 유포하기: (잠재적) 행동주의로서 디지털 배급
? 제임스 N. 길모어
3부 내로우캐스터이자 글로벌 행위자로서 넷플릭스
Chapter 1 몰아보기의 실천: 스트리밍 영상 시청자의 의례, 동기, 느낌
? 에밀 스타이너
Chapter 2 내로우캐스팅, 밀레니얼과 디지털 미디어의 장르 개인화
? 앨리슨 N. 노박
Chapter 3 쌍방향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인터넷 “인스턴트” 텔레비전으로:
넷플릭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본 권력이동과 새로이 떠오르는 수용자 실천
- 비비 테오도로파울루
Chapter 4 멕시코에서의 디지털 전송: 글로벌 신참이 현지의 거인을 휘젓다
? 엘리아 마르가리타 코넬리오 마리
지은이 소개
미주
참고문헌
코리 바커,마이크 비아트로스키 등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