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괜찮겠지만 난 아니라고 - 말하자니 뭐하고 말자니 목 막히는 세상일과 적당히 싸우고 타협하는 법
“혹시, 오늘도 불편하세요?”
말하자니 뭐하고 말자니 목 막히는
세상일과 적당히 싸우고 타협하는 법
‘난 찍먹인데 말도 없이 탕수육 소스를 부어 버리는 친구, 버스가 자기네 집 안방인 양 고래고래 떠드는 승객, 영화관과 지하철에서 선을 못 지키고 넘어오는 냄새와 시선, 상대의 감정과 반응은 전혀 고려치 않은 나 몰라라 고백….’
하루에도 수십 번, 낯선 이들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잠들기 전 떠올리면 어쩐지 불편해지는 순간들이 있다. 당시엔 모르지만 되새김질 해 보면 조금도 안 괜찮은 그런 1분 1초들. 때론 소심해 보일까 봐, 때론 뭘 이런 것까지 싶은 마음으로 지나친 순간들은 쌓이고 쌓여 화병을 키우고, 결국 세상에 등을 돌리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다. 이럴 때 우리에게 필요한 건, 뻥! 하고 시원하게 뚫어 줄 마음의 해소처가 아닐까.
작품은 크게 일상에서 만나는 생생한 불편들을 라이브로 들려주며 이에 대한 마음의 대안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하나부터 열까지 조목조목 따져 주는 대신, 마침표는 깔끔 명료하게 찍는 것이 핵심 포인트! 누가 봐도 진상&민폐인 상황을 스무드하게 피하는 핵꿀팁과 한 번쯤은 필요한 자기반성의 타이밍, 불편한 세상을 속 편하게 건너는 극강의 요령까지, ‘불편’이라는 봉인된 소재를 유쾌하게 건드리며 기분 좋은 악수를 청한다.
‘지구’라는 공동 주거 공간에서 이해는 선택, 배려는 필수! 딱히 피해 준 건 아니더라도 언짢은 일들은 늘 우리 삶 속에 도사리고 있기 마련이다. 참으면 무엇도 달라지지 않는다. 그냥 넘어갈 바에야 과감히 마음속 레드카드를 꺼내 들자. 그 \'불편한 용기\'가 빛을 발할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공감하고, 돌아보며, 타협하여, 달라지는 내일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꼬일 대로 꼬여 버린 세상과의 매듭을 기분 좋게 풀어 주는 책! 첫 페이지를 펼치는 순간, 불편한 마음은 눈 녹듯 사라지고 어느새 거짓말 같은 평온이 당신을 찾아온다!
“조금 더 마음 편히 살 수 있다면….”
세상 속 불편들과 기분 좋게 싸우고 타협하는 법
꽁꽁 봉인돼 있던 6천만 국민들의 생생한 불편 에피소드!
날이면 날마다 크고 작은 불편들과 수도 없이 대면하는 우리들. 딱히 피해 준 건 아닌데 어쩐지 불쾌하고, 민폐라 생각돼도 모면하기 힘든 상황들이 도처에 깔린 세상이다.
작품은 이렇게 쉽게 만날 수 있는 생활 속 불편들을 소재로 이야기를 풀어 간다. 주위를 싸하게 만드는 눈치 없는 관종, 보는 이로 하여금 열받게 만드는 협박성 경고문, 자기 입으로 허세를 부리는 중이병 환자들은 그래도 애교다. 뜬금없이 위아래로 훑는 시선 폭행은 물론이요, 버스가 제집 안방인 줄 아는 어르신, 뻐끔뻐끔 안하무인 길거리 간접흡연과 도 넘은 애정 행각을 벌이는 커플 등 존재 자체만으로도 피곤해지는 상황들은 셀 수 없이 넘쳐난다.
‘불편’하지만 ‘불편’하다 말하지 못했던 ‘불편’했던 기억들에 대해 책의 저자는 이야기한다. 마음이 어지러울 때, 일도 사랑도 내 편이 아니라고 느껴질 때, 친구 같은 책이 되어 주고 싶다고. 읽으면 읽을수록 내 일처럼 감정 이입 되는 세상일들의 총망라! 이제 봉인된 6천만 국민들의 차고 넘치는 불편 에피소드가 격한 공감과 재미로 우리 곁을 찾아온다.
불편한 당신의 마음을 조목조목 대변해 드립니다
약간은 섬세하고, 조금은 예민해서 말하지 못하고 넘겼던 순간들이 있다. 더구나 사회와 직장, 가족과 연인 등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맺어진 관계라면 더욱 드러내기 힘든 부분이 속내일 것이다. 쌓일 대로 쌓인 마음속 불만들이 임계치에 다다랐을 때, ‘노답(NO答) 사회’를 초래하는 일은 불을 보듯 뻔한 일. 이 모든 불편 사항들을 시원하게 해결해 주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본문 속 한마디, 한 문장이다.
복이 가득해 보인다며 접근하는 이들에게 “그쪽도 복이 가득해 보이세요”라고 웃으며 맞받아치고, “마음이 시키는 대로 하세요”라는 종교인의 위로에 이는 곧 ‘너 알아서 하라’는 제멋대로 처방 아니냐며 직격탄을 날린다. 또 노 키즈 존이 금지하는 건 ‘아이’가 아니라 ‘아이를 동반한 철없는 어른’이라며 과감히 일침을 놓기도 한다. 깔끔하게 치고 빠지는 쓴소리도 상쾌하지만 ‘이 자식아’, ‘어이가 없네’같이 짧고 굵게 날리는 어퍼컷 또한 보는 이들에게 통쾌한 대리 만족을 선사한다.
마음속 불편을 용기 내 꺼내기 어려울 때, 마냥 삭히기가 버겁게 느껴질 때, 더는 참지 말라 주문하는 책. 망설이는 당신을 위해 하나부터 열까지 조목조목 대신 따져 줄 프로 불편러가 지금, 이곳에 준비돼 있다.
불편한 세상을 건너는 최적의 방법 A to Z!
‘불편한 세상을 어떻게 하면 잘 건널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삶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가 아닐까. 그리고 그 해답의 실마리 역시 결국은 우리 손 안에 쥐어져 있다는 것이 부정할 수 없는 세상의 이치다.
그 첫 번째 시작이 바로 자신의 불편 지수를 체크하는 일. 예민하거나 섬세한 성향을 지니진 않았는지, 멘사 회원을 능가하는 기억력이 괜한 불편을 부른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볼 일이다. 그러다 보면 나는 되고 남은 안 되는 부끄러운 내로남불의 ‘모습’과도 마주하게 된다.
철저한 반성이 있어야 성장이 따르는 법, 이 시간을 거치고 나면 뾰족했던 마음은 누그러지고 세상과 적당히 싸우고 타협할 줄 아는 나름의 힘도 길러진다. 유치한 태클과 반칙은 가볍게 무시하고 나만의 철칙을 세워 응수할 줄 아는 여유, ‘불편해!’라고 말하기 전에 ‘왜일까?’부터 고민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해소법을 찾다 보면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기본 덕목을 깨우쳐 조금 더 편한 마음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동고동락해야 하는 일상의 불편이라면 이제 기분 좋게 그리고 스무드하게 세상을 건너 보는 것은 어떨까? 아니다 싶은 세상에는 과감히 레드카드를, 양보와 타협이 있는 세상에는 흔쾌히 악수를 건네자. 열린 마음만 있다면 세상 그 어디에도 풀지 못할 ‘불편(?)’이란 없다!
불편한 세상을 건너는 남자.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으나 사내 정치와 대여(女) 외교에선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한때 영화 및 스포츠 전문기자, FIFA 에디터 등으로 활동했으며 독일, 태국 등지에서 외국인 노동자로 다양한 문화를 경험했다.
인생이 쓰게 느껴질 무렵, 꿈과 현실을 가리지 않고 기록하는 습관을 갖기 시작했고, 이는 얽히고설킨 세상의 매듭을 글로 풀어 가는 단초가 되었다. 취미는 우드카빙으로 매 순간 나무를 깎는 일과 글을 쓰는 행위가 교묘히 닮았음을 느낀다. 미혼과 비혼의 언저리에 있는 현재, 아직 오지 않은 사랑을 기다린다.
instagram: kang.jude
책을 쓰면서 - 불편한 세상을 무사히 건너는 법
PART 1.
딱히 피해 준 건 아니지만
자신의 뒤끝을 타인에게 떠넘기는 버릇 015 · 눈치는 밥 말아 먹었나
요? 018 · 발품이 배신하지 않는 시대 022 · 고운 말이 세상을 바꾼다
026 · 복사+붙여 넣기가 안 되는 순간 029 · 짜고 치는 고스톱이 찝찝
한 이유 032 · 자꾸 귀에 걸리는 말 034 · 왜 오글거림은 우리들의 몫
일까 038 · 자신에게 맞는 것을 하도록 해 042 · ‘결혼’ 좋아? 아니 ‘네’
가 좋아! 046 · 딸 바보 아빠의 딸은 이상하게 힘이 든다 049 · 지나칠
바엔 차라리 솔직해져 봐 053 · 함부로 깎아내리지 마세요 056 · 맛의
다운그레이드 현상 061 ·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다는 말 064 · 감성이
라 쓰고 갬성이라 읽는다 066
당신의 불편러 지수는? 068
PART 2.
동의 없이 치고 들어오는 사람들
대체 누가 누구더러 073 · 버스 탈 때 불편해지는 것들 076 · 그쪽도
복이 많아 보이세요 079 · 아무리 예뻐도 용서할 수 없는 여자 083 ·
우리, 공존할 수 있겠습니까? 086 · 철없는 어른 금지령 089 · 기본기
에 충실해져야 하는 까닭 093 · 동의 없이 치고 들어오는 사람들 096 ·
둘 사이에 하나가 끼면 생기는 일 100 ·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103 ·
뵈는 게 없는 사랑 106 · 어쭙잖은 위로는 거부하겠습니다 108 · 들을
자는 들을 것이요, 듣기 싫은 자는 듣지 아니하리니 111 · 오해하는 자
와 오해받는 자 115 · 진실인 양 호도하지 말아 줄래요? 120
불편을 피하자. ‘스무드’하게 122
PART 3.
때로는 내로남불의 순간이 온다
냄새는 선을 지킬 수 있다 127 · 사람과 사람의 최대 허용 거리 130 ·
유행만 따라가서는 안 되는 이유 133 · 눈치 백 단과 눈치 제로 사이 어
디쯤 137 · 욕도 사랑과 관심입니다 142 · 남을 바꾸기 전에 먼저 생각
해 볼 일 147 · 누가 그랬다, 때론 착각도 약이라고 151 · 포장하려 애
쓸 필요는 없어 154 · 미안하게 만들어서 미안합니다 157 · 가장 솔직
한 대답 160 ·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야 쉽게 풀리는 문제 164 · 의미
부여가 인생을 복잡하게 만든다 168 · 세상이 꼭 모 아니면 도는 아니잖
아 172 · 숨을 고른 말이 더 멀리 간다 174 · 힘주기가 더없이 필요한
시대 177 · 당사자만큼 뻘쭘한 사람도 없다 182 · 자기조절능력 186
틈틈이 가져 보자, 자기반성의 시간 190
PART 4.
세상과 매듭을 푸는 슬기로운 마음 타협법
각자의 이유, 나름의 사정 195 · 공공의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법 198 ·
모든 것에는 때와 장소가 있다 201 · 중간점을 찾다 205 · 시선의 인
정 210 · 성급한 행복 오류의 수정 212 · 사람마다 관점의 포인트가
다르다 216 · 독심력 끌어올리기 219 · 시간이 교차하는 순간, 왜 중요
할까? 223 · 서서히, 깊숙이, 타인에 스며들다 228 · 현실직시 처방법
231 · 비워야 한다면 일단은 채워라 233 · 벽을 허무는 데 필요한 마음
가짐 236 · 감정 투기자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240 · 모두의 취향
이 존중받는 그날까지 243 · 악플러를 위한 변명 247
불편한 세상을 건너는 속 편한 방법 252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