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과 함께하는 軍 인권과 안전의 새로운 만남
- 군 인권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 모색
이 책은 인권과 관련된 다양한 테마를 묶어 총 10장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책에 수록된 ‘인권 칼럼’과 ‘안전 칼럼’은 군 내부적으로 인권과 안전에 대한 인식 개선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는데, 입대를 앞둔 청년이나 그런 자식을 둔 부모, 그리고 군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에게도 군의 현주소를 알리자는 취지에서 책을 출판하기에 이르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군 자체적으로도 인권과 안전에 관한 인식 재고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알리고 군이 직면한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보고자 한다.
『인문학과 함께하는 軍 인권과 안전의 새로운 만남』은 심리학, 역사, 문학 등 인문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누구나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다. “인권은 인권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군 인권 의식의 보호와 함께 인식 변화에 기여한다는 데서 이 책의 가치를 찾게 될 것이다.
육군 제50보병사단 군사경찰대장(舊 헌병대장). 육군사관학교를 47기로 졸업했다. 30여 년간 헌병 병과 생활을 하면서 사건·사고 관련 피해자들의 고통, 역설적이지만 사고자의 아픔도 함께 경험하면서 군의 안전과 인권 문제에 대해 많은 고찰을 하였고, 문제의 핵심과 근원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와 고민을 해 왔다.
사안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결국 풍부한 사색이며, 또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독서라 생각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어 1년에 400권 이상의 책을 읽기도 하였고, 그간의 지식과 경험, 생각들을 구조화하여 사건·사고의 본질과 병영 현상을 통찰하는 다수의 ‘안전 칼럼’과 ‘병영문화단상’을 집필하여 〈육군지〉 등에 기고했다. 2019년도에는 국방홍보원 측의 의뢰로 국방일보에 ‘인권 칼럼’을 10회 기획연재 하였으며, 인권 관련 ‘국방뉴스’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등 공공기관 의뢰로 해당 기관지에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지금껏 일부 민간단체와 육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인권과 안전’을 주제로 수천 회의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과 사고를 바탕으로 저자는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최우수 교관, 우수 논문상을 받은 바 있고, 2015~2017년 제2작전사 수사과장 재직 중에는 헌병대위, 소령, 중령 지휘관리과정 전 과정에 4시간씩 초빙강의를 하여 헌병학처로부터 ‘감사패’를 받기도 하였다. 2014년, 51사단 헌병대장으로 근무할 때는 ‘수사, 예방, 작전,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헌병대’란 주제로 국방홍보원에서 저자에 대해 기획취재를 하고, 연이어 국방 FM ‘우리 부대 이야기’에 소개되기도 하였으며, ‘인권 보호’ 유공 국방부장관 표창, 3군사령부 ‘참군인상’, ‘보국훈장 삼일장’ 등으로 결실을 보기도 하였다. 저자는 부대가 달성하고자 하는 최종상태가 무엇인가를 항상 생각하고, 현재 정립한 방법이 효율적인지, 최소의 희생과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내는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인지 끊임없이 성찰하며 생활하고 있으며, 지금은 50사단에서 장병 인권보호와 안전한 육군으로의 마중물 역할을 자처하며 임무에 진력하고 있다.
프롤로그
1장 약자 배려는 인권의 출발
군인과 인권
인권의 이면과 본질
역사 속 깍정이, 오늘날 다시 등장
갑질과 스페인 ‘세빌(Sevil) 선언문’
#1. 지휘관에게 고(告)하는 글
2장 성폭력은 약자에 대한 약탈
미투(Me Too) 현상에 대한 소고(小考)
조선 9대 왕 성종, ‘주요순 야걸주(晝堯舜 夜桀紂)’
신사임당의 탄식
시경 소아편, ‘수지오지자웅(誰知烏之雌雄)’
#2. 병영 내 성폭력 범죄가 발생하는 이유
3장 음해-험담은 살인보다 무섭다
다우트(Doubt) vs 공자와 안회
음해와 험담의 메커니즘
아모르 파티(Amor Fati)
약점 없는 인재 없고, 강점 없는 범재 없다
#3.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4장 말을 잘할 것인가? 잘 말할 것인가?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
말과 폭행사고의 메커니즘
말 잘하면 인생이 바뀐다
#4. 감사나눔 운동
5장 판도라는 마녀가 아니다
마녀에게 있어 인권이란?
무죄추정의 원칙&일사부재리의 원칙
판도라의 눈물
인지심리학자들의 경고
#5. 삶은 계란에 대한 소고(小考)
6장 스마트폰, 이용할 것인가? 이용당할 것인가?
이솝우화와 담뱃갑 경고 그림
통제 vs 자율
청년 Dream 국군 드림
#6. ‘코로나19’에 대한 단상
7장 매슬로, 軍 인권을 말하다
어린 왕자의 후회
매슬로와 인본주의
욕구 5단계와 병영 문화
#7. 시야를 넓혀라
8장 군인 가족에게 전하는 인권 이야기
장자 열어구편, ‘도룡지기(屠龍之技)’
털장갑과 눈깔사탕
군인 가족에 있어 인권이란?
#8. 어느 공군 조종사의 일기
9장 상어의 눈물
군 기강 확립 vs 인권침해
상어와 샥스핀(shark’s fin)
상관도 인권이 있다
#9. 군인에게 있어 전문성이란?
10장 인권 감수성을 높이려면?
장애인 이야기
백설공주의 항변
된장녀 vs 김치녀 vs 한남충
미스터 션샤인
#10. 간절함이 갖는 놀라운 효과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