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분석을 위한 고급통계학 - 실전사례와 응용
아무리 잘 만들어진 교재도 학생들을 가르치다보면 여러 가지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 경영통계학을 가르치다 보면, 수준이 올라갈수록 내용이 어려워 접근성이 떨어지고, 재미가 없어 자기주도형 학습에 애로가 있고, 개념보다는 기술적 측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는 학생들의 평가가 주를 이룬다.「경영분석을 위한 고급통계학」도 이러한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책을 집필하기에 앞서 몇 가지 경영 이슈에 대하여 스스로 질문을 던져 보았다.
과거 개발경제 시대에 고도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기업들이 지금의 경영환경에 노출된다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성공 여부에 대해 논박이 있을 수 있으나, 분명한 것은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변함에 따라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주관적인 경험이나 직관적인 의사결정에 의존하기 보다는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사업 계획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통계적 접근을 거친 최선의 선택이 사업 성공의 실마리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기업이 시장조사를 통해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를 생산활동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사전적으로 시장조사를 수행하고 사후적으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통계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경제 현상과 경영 사례를 배우는 경영학에서 통계분석의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송두한 박사는 미국 Temple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금융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까지 미국 오하이오 주 소재의 Otterbein University에서 경영학부 조교수로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 외국어대학교 글로벌 경영학부 겸임교수로,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금융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며 강의와 연구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활동으로는 Journal of Finance Issues에 게재된 논문을 비롯해 금융경제와 계량경영 부문과 관련된 다수의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송두한 박사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송두한 박사는 미국 Temple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금융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까지 미국 오하이오 주 소재의 Otterbein University에서 경영학부 조교수로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국 외국어대학교 글로벌 경영학부 겸임교수로,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금융연구실장으로 재직하며 강의와 연구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활동으로는 Journal of Finance Issues에 게재된 논문을 비롯해 금융경제와 계량경영 부문과 관련된 다수의 학술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송두한 박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내 파급효과를 가장 먼저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한 금융경제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1부 통계의 원리와 이해
제2부 경영 분석과 실전사례
제3부 시계열 분석
송두한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