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 활용
머리말
현재, 산업계와 학계의 화두는 단연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제조이다. 하지만 그 내면에는 철저히 시스템통합(SI; System Integration)이 존재하고 있다. 1980년대 이전의 기능적 통합(MRP, CIM 등)이 제조 산업에 도입되었을 때 느꼈던 획기적인 반응이 1990년대 수직적 통합(ERP, PLM 등)의 발전으로 시너지 효과를 흠뻑 발산할 수 있었다. 그 이후 수평적 통합(SCM, B2B 등)으로 거래 주최를 아우르기까지 하게 된다.
이제는 단순히 자동화가 아닌 IoT를 통한 스마트 자동화로 인해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산업에 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그 근간이 되는 ERP의 능력과 필요성은 변함없이 요구되며 이러한 환경이 산업경영공학과의 학부과정에서 다룰 만한 범주에서 SAP ERP 시스템을 활용하여 한 학기 정도의 분량을 소개한다.
저자는 1994년 삼성에스디에스에서 국내 최초로 SAP를 도입할 때 MM과 PP의 컨설턴트 교육을 받으면서 삼성전자, 삼성코닝, 삼성중공업 등에 구축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선문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4학년 교과과정을 강의하고 있다. SAP ERP는 Global Bike Case Study를 통하여 주요 기능별 실제 시나리오를 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Fiori Launchpad로 전환해 가고 있는 추세에 이 교재는 SAP ERP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과 재직자들에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이 교재는 1장에서 Fiori Launchpad의 소개부터 시작한다. 새로워진 화면은 타일(tiles)같은 앱스(Apps)로 구성되어 있고 기능별로 그룹핑이 되어 있다. 2장은 case study의 대상인 Global Bike Inc.(GBI)에 대한 설명이며 완제품, 원자재, 고객, 벤더 등을 열거한다. 3장부터 11장까지는 SD(영업관리), MM(자재관리), PP(생산관리), FI(재무회계), CO-PC(관리회계 및 원가관리), WM(창고관리), QM(품질관리) 등을 다루고 있다. 다만, HCM(인적자원관리), PS(프로젝트관리), EAM(기업자산관리) 등은 다음 기회에 포함시킬 예정이다.
이 책은 SAP ERP의 Fiori Launchpad를 통해서 대표적인 실제 업무를 시나리오로 설명하였다. 실무에서 더 복잡하고 체계적인 상황을 처리할 때 이 작은 교재가 디딤돌이 되어 그 역할을 해 주길 기대한다. 끝으로 이 작업을 도와준 주위의 많은 분들께 감사의 뜻을 전하고 특히 강의 때 많은 피드백을 보내 준 물류벤처기업창업 수강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보낸다.
2020년 1월
<물류전략> 저자
제1장 SAP의 Fiori Apps
제2장 Global Bike
제3장 SD(Sales and Distribution)
제4장 MM(Material Management)
제5장 PP(Production Planning and Execution)
제6장 FI(Financial accounting)
제7장 CO-PC(Controlling-Product Costing)
제8장 WM Ⅰ
제9장 WM Ⅱ
제10장 WM Ⅲ
제11장 QM(Quality Management in Procu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