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대평원 - 바람과 생명의 땅
“늑대만큼 용감한 사람만이 늑대를 볼 수 있고,
늑대보다 용감한 사람만이 늑대를 죽일 수 있다.”
- 본문 중에서
방송계에서 ‘오지의 PD’라는 별명을 들을 만큼, 방송국 생활 내내 생사를 넘나드는 악전고투를 통해서 세계의 오지만을 카메라에 담아온 사람, 국내외에서 이미 자연다큐멘터리 프로듀서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EBS 프로듀서 서 준이 처음으로 털어 놓는 특별한 아시아 이야기.
2012년 절찬리에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 〈아시아대평원〉이 1년 만에 책으로 나온다. 책을 쓰기 위해 저자는 오지 촬영 내내 모래폭풍에 갇히거나 눈 덮인 히말라야의 혹한 속에서도 곱은 손으로도 메모를 잊지 않았고, 메모 한 줄 한 줄에 기억을 덧붙여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시리도록 아름다운 자연과 사람의 이야기를 전한다.
“검독수리 사냥을 위해 카자흐족은 새끼 독수리를 둥지에서 꺼내 오는데,
새끼를 꺼낸 다음 흰 천을 빈 둥지에 묶어준다.
‘하얀마음’ 즉 좋은 마음으로 새끼를 잘 기르겠다는 약속의 표시다.”
- 본문 중에서
지구 상에서 가장 넓은 평야, 유라시아 스텝의 일부이면서도 영하 40도와 영상 40도를 오르락내리락하는 사막과 지구의 천정 히말라야에 둘러싸인 아시아대평원. 그 혹독한 자연 환경 속에서 수천 년을 살아온 유목민과 가축 그리고 야생동물의 공존과 갈등을 방송에서 미처 전하지 못한 뒷 이야기들과 함께 독자들에게 전한다.
“그날 밤 처음으로 초원의 바람소리를 들었다.
초원의 바람소리는 다른 소리가 전혀 섞이지 않은 바람,
그 자체만의 소리였다.”
- 본문 중에서
고비의 늑대와 히말라야의 눈표범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목숨을 건 저자의 생생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독자들은 늑대의 서늘하고 푸른 눈빛을 직접 만나고, 눈표범의 굵고 긴 꼬리가 살랑거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뿐인가. 초판을 구매하는 2000명의 독자들에게는 DVD가 부록으로 제공되어, 〈아시아대평원〉의 아름답고도 숨 막히는 장면을 영상으로도 바로 감상할 수 있다.
“내게 자연다큐멘터리의 가장 큰 매력은 불확실성이다.
어떤 대상이나 장면을 찍게 될 지를 모른다는 점이 나를 가슴 설레게 한다.
자연에는 정해진 답이 없다.”
- 본문 중에서
“히말라야에서는 동물들도 명상을 한다”는 저자의 농담은 저자의 글을 읽다 보면 농담으로 들리지 않는다. 이 책은 흔한 여행기도 단순한 후일담도 아니다. 목숨을 걸고 자연을 만난 한 사내의 ‘자유’에 관한 이야기며, 자연과 공존하는 법을 잊어버린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경희대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대학원 생화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EBS에 입사하여, 현재 교육다큐부 프로듀서로 있다. PD 생활의 대부분을 국내외 오지에서 자연을 촬영하며 보내 동료들에게 ‘오지 PD’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주요 연출 작품으로 자연다큐멘터리 <공존의 그늘>, 다큐프라임 <태고의 땅, 몽골>, <신과 다윈의 시대>, <히말라야>, <사라져가는 야생동물을 찾아서>, <아시아대평원> 등이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수상하는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을 3차례나 받았으며, ‘올해의 PD상’(한국방송작가협회), ‘엠네스티 언론상’, ‘Children earth vision award’(일본 환경영화제)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들어가며
초원에서
고산에서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