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과 공공복지 - 영미국가와 한국 사회보장의 현재와 미래
이 책은 저자의 2010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기초생활보장과 공공복지』의 연장선상에 있다. 최초 발간한 지 10여 년이 지남에 따라 복지환경뿐만 아니라 제도의 내용이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생김에 따라, 현재 시점에서 전반적인 내용들을 새롭게 가다듬고 그 이후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라 대두된 이슈들을 미래 사회보장의 관점에서 대폭 수정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대표적인 이슈들로서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 기본소득 도입실험 등에 대한 논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저자가 오랫동안 공공복지영역에서 정책개발과 집행과정에 직접 참여해 오면서 현장의 욕구와 변화를 몸소 느끼고 간직해 온 문제의식과 다년간 대학 강단에 서오면서 세상을 바라본 서생적 관점을 토대로 국내외 정책 연구자료와 정책사례를 ‘사회보장과 공공복지의 현재와 미래’라는 틀을 가지고 분석,정리한 것으로서, 이론과 현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공공복지 프로그램들을 들여다보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미국 Syracuse대학교 Maxwell School에서 공공행정으로 MA를, 동국대 대학원에서 복지정책으로 Ph.D.를 받았으며, 미국 U.C. Berkeley 정부학연구소(Institute of Governmental Studies) 방문학자로서 영미 공공복지 전반을 연구하였다. 제24회 행정고시로 공직에 입문한 이후 국무총리실 자치행정 및 시민사회협력 담당관, 서울시 복지건강본부장, 은평병원장, 보건환경연구원장, 문화산업기획단장, 강서구 부구청장 등을 역임했다. 동국대, 서강대, 연세대, 가톨릭대, 명지대 등에 출강해 오고 있으며, (현) KC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이다. 주요저서로는 『미국 지방정부의 이해』, 『기초생활보장과 공공복지』, 『복지현장에서 주민에게 길을 묻다』 등이 있다.
제1장 공공복지 정책환경의 변화
제2장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3장 정치 이데올로기와 복지개혁
제4장 미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5장 영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6장 한국의 사회보장체계와 공공복지
제7장 미래 사회보장의 혁신적 대안
제8장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보장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