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 심리 이론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소비자를 설득하거나 공공정책을 계몽하는 상황, 그리고 일상에서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는 상황에서 이용되는 핵심적인 설득 기법과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정리했다. 태도형성과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들이 설득 메시지를 수용하고 최종 선택에 이르는 심리적 과정을 조건화 이론부터 단계적 설득 이론까지 심리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 대학교에서 사회심리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애드 마케팅 및 R&D팀에서 팀장으로 근무했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그 밖에 한국광고학회, 한국심리학회, 한국마케팅학회, 한국소비자학회 등 국내의 주요 학회의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일본사회심리학회, 일본광고학회, 일본소비행동연구학회 등의 정회원으로 일본에서도 매년 꾸준히 학술발표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간행동과 심리학』(공저, 2005), 『광고와 심리』(2004), 『응용심리학의 현재』(공저, 2001)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광고가 구매 후 후회해소에 미치는 영향”(2009),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2008), “TV 드라마의 시청이 외국 이미지 및 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2007), “구매 후의 인지부조화와 정보탐색행동”(2006), “공익활동에 대한 귀인과 기업태도”(2005), “메시지의 현출성과 구전효과”(2004), “암묵적 기억을 통한 PPL효과측정”(2003), “검색 사이트의 키워드 광고효과측정”(2002), “가치지향에 따른 환경광고의 설득효과”(2002), “인터넷 광고의 혼잡도와 광고효과”(2001), “공익광고의 프레이밍 효과”(2000) 등 이 있다. 현재 행동경제학과 관련한 소비심리를 연구 중이다.
설득의 필요성과 심리적 과정
01 단순 노출 이론
02 사회 비교 이론
03 동조 이론
04 단계적 설득 이론
05 조건화 이론
06 계획된 행동 이론
07 정교화 가능성 모델
08 인지 일치 이론
09 인지 부조화 이론
10 귀인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