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소통의 심리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공감과 행복을 주는 소통 심리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본다. 첫인상, 공감과 행복, 사랑의 이면에는 어떤 심리가 포함되어 있는지, 오해와 착시, 의견 양극화, 동조를 피하기 힘든 이유는 어디에 있는지, 세대 간, 문화 간 소통의 지혜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과 설득 과정의 심리적 기반은 무엇인지를 간단명료한 원리와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사회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방송학회 학술상을 수상한 『미디어심리학』과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인간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가 있고, 역서로 『정신, 자아, 사회』, 『미디어 연구방법』, 『세계의 문화와 조직』 등이 있다. “SNS 중이용자와 경이용자의 현실인식 차이”,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가족평등대화와 청소년의 인터넷 의존”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소셜 미디어와 설득커뮤니케이션, 디지털시대 청소년의 소통문화, SNS의 사회심리학적 분석이 주요 연구 분야다.
참된 소통과 행복의 원리
01 첫인상
02 공감과 행복
03 사랑
04 오해와 착시
05 의견 양극화
06 동조와 침묵
07 세대 소통과 가치관
08 문화 차이
09 리더십
10 설득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