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론(워크북 포함)
더 이상 우리 한국사회에서 ‘사회복지’라는 말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이는 시대가 흐르면서 전통적인 유교문화를 기반으로 했던 가족중심적·중앙집권적이었던 우리 사회가 다원화되고, 인권과 개인을 중심으로 한 복지적 욕구가 사회에 폭넓게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는 국가의 정책적 차원에서 막대한 공적 자금이 투자되는 주요 어젠다가 되었고, 무수한 사회복지 관련 기관이 확대 설립·운영 중이며, 사회복지사와 같은 사회복지 전문가가 양산되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우리의 사회복지 분야는 지금까지 걸어온 길만큼, 아니 그보다 더 많이 개선하고 발전해야 할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이는 일면 그간 우리의 사회복지에 관한 이론적 담론이 지나치게 미국적 패러다임에 편중되어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실천 측면에서도 그러한 이론적·정책적 패러다임을 뛰어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해 왔습니다. 우리가 급격한 경제 성장 뒤에 남은 사회적 부작용으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정도로 사회복지를 바라볼 것인가, 아니면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구조를 변혁해 나가며 이상적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제도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임해 나가느냐를 객관적으로 되돌아보면, 아직도 사회복지를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과 오늘날의 정책적 합의는 전자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합니다.
<사회복지 실천론(워크북 포함)>저자
학습안내
제1부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적 기초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개념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제3 장 사회복지실천 관련 주요 이론
제4 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제2부 사회복지실천의 핵심 요소 및 주요 영역
제5 장 사회복지실천 현장
제6 장 사회복지사
제7 장 통합적 사회복지실천 체계
제8 장 관계형성
제9 장 면 접
제3부 체계적 사회복지실천 과정
제10장 접수와 자료수집
제11장 사정과 계획수립
제12장 복지적 개입(서비스)
제13장 효과측정/평가와 종결
제4부 사례관리
제14장 사례관리의 개념과 모형
제15장 사례관리 실천
저자 약력
워크북
내용구성 및 학습방법
제1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초 개념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제3장 사회복지실천 관련 주요 이론
제4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제5장 사회복지실천 현장
제6장 사회복지사
제7장 통합적 사회복지실천 체계
제8장 관계형성
제9장 면 접
제10장 접수와 자료수집
제11장 사정과 계획수립
제12장 복지적 개입(서비스)
제13장 효과측정/평가와 종결
제14장 사례관리의 개념과 모형
제15장 사례관리 실천
주경필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