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 (워크북 포함)
아동은 국가, 사회의 미래이며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서, 아동의 복지는 아동을 둘러싼 가족 및 사회의 환경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아동복지의 이념과 실천과제로서 아동의 권리가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아동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제안·실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동의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 사회적인 책임을 명문화한 아동복지 관계법들이 제정되었고, 보호·교육·가정을 지원하고 보상하는 기능을 내포한 다양한 보육서비스들이 제안되었다. 앞으로 21세기 아동복지의 발전을 위해서는 아동복지의 연구나 학습이 큰 의의를 지니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교재에서는 아동의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의 습득에 목표를 두었다.
(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학위 및 역임) 미국 뉴욕주립대학교(SUNY at Buffalo) 대학원 졸업(박사, Ph.D.), 미국 뉴욕주립대 부설 유아교육기관 교사, 교육실습 세미나 강사, 미국 Tufts 대학교 객원교수, 미국 세인트루이스 레지오 협력 유치원 객원 연구원, 미국 Berkeley 대학교 객원교수
• 주요저서 : 『유아교육개론』(공저), 『아동문학』(공저), 『유아언어교육』(공저), 『유아교육탐구』(공저), 『유아교육과 멀티미디어』(공저), 『아동복지』(공저), 『교수학습이론과 매체』(공저), 『유아, 공간, 관계: 유아를 위한 포괄적 교육환경 프로젝트』(공역), 『기록작업을 통한 학습의 가시화: 개인과 집단학습자로서의 어린이』(공역) 등 다수
학습안내
제 1 부 아동복지의 기초
제 1 장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이해
제 2 장 아동복지 발달의 역사와 세계적 추세
제 3 장 아동권리의 이해
제 4 장 아동발달과 복지
제 2 부 아동복지 실천방법
제 5 장 아동복지의 기본전제와 원칙
제 6 장 아동복지서비스의 이해와 전문화 방향
제 7 장 아동복지의 미시적 실천방법
제 8 장 아동복지의 거시적 실천방법
제 9 장 아동복지의 법적 체계
제 3 부 아동복지 실천분야
제 10 장 영유아보육서비스
제 11 장 강제보호서비스
제 12 장 가정위탁보호와 입양
제 13 장 시설복지서비스와 재가복지 상담서비스
제 14 장 아동과 학교사회복지
제 15 장 아동복지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부록
워크북
제1장 아동문제와 아동복지의 이해
제2장 아동복지 발달의 역사와 세계적 추세
제3장 아동권리의 이해
제4장 아동발달과 복지
제5장 아동복지의 기본전제와 원칙
제6장 아동복지서비스의 이해와 전문화 방향
제7장 아동복지의 미시적 실천방법
제8장 아동복지의 거시적 실천방법
제9장 아동복지의 법적 체계
제10장 영유아보육서비스
제11장 강제보호서비스
제12장 가정위탁보호와 입양
제13장 시설복지서비스와 재가복지 상담서비스
제14장 아동과 학교사회복지
제15장 아동복지의 전망과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