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발해고 - 우리가 버린 제국의 역사

발해고 - 우리가 버린 제국의 역사

저자
유득공
출판사
위즈덤하우스
출판일
2017-04-21
등록일
2017-10-13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KB
공급사
우리전자책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한민족 최후의 제국, 발해
규장각 검서관 유득공에 의해 깨어나다
1784년, 조선의 왕실 도서관인 규장각에서 검서관(檢書官)으로 일하던 37살 청년 유득공은 《발해고》를 세상에 내놓는다. 《발해고》는 청나라가 중화질서의 중심으로 등장한 뒤 소중화주의와 북벌론에 안주하고 있던 조선을 뒤흔들었다. 당시까지 조선 사회는 반도 바깥의 발해를 자국의 역사라 여기지 않았다. 기자 조선의 정통을 이어받은 반도의 마한이 삼국시대를 거쳐 신라로 통일되었다는 성리학적 역사관을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유득공은 이 같은 역사관에 반발했다. 《발해고》에서 유득공은 발해를 고구려의 후계자이자, 삼국시대 이후에도 신라와 발해가 병립했다는 남북국시대론을 주장했다. 이는 발해를 한민족의 역사로 규정하는 것이자, 한민족의 강역을 대륙까지 확장시킨 혁명적인 역사관이었다. 이후 《발해고》는 한치윤·홍석주·정약용·김정호 등 당대 조선의 진보적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이들이 발해에 관심을 갖게 되는 기폭제 역할을 한다. 근대 이후에는 신채호·박은식·장도빈 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이 일제 식민사학의 역사 왜곡에 맞서는 데 필수적인 저서로 자리매김한다.

잊혀진 제국을 향한 끝없는 탐구
유득공이 최후까지 수정을 거듭한 《발해고》 4권본
유득공이 《발해고》를 출간한 후에도 발해에 관한 연구를 계속 이어나갔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출간 이후 당대 최고의 학술기관인 규장각에서 국내의 여러 역사서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 입수한 각종 문헌들을 검토하고 발해 관련 사료들을 발굴했다. 또한 그는 세 차례에 걸쳐 중국 연행길에 참가해 발해의 강역이었던 만주 지역을 직접 답사하기도 했다. 이처럼 발해에 관한 연구가 축적될수록 유득공은 《발해고》 개정 작업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리고 마침내 새로운 《발해고》를 작성하고 이를 자신의 문집인 《영재서종》에 포함시켰다. 이것이 《발해고》 4권본이다.
이 새로운 수정본은 기존에 출간된 《발해고》 1권본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구성이 완전히 달라졌다. 9고(考)로 구성된 《발해고》 1권본과 달리, 《발해고》 4권본은 5고(考)로 재구성되었다. 새로운 내용도 대폭 추가되었다. 발해의 역대 신하들을 다루는 〈신하고〉에는 《발해고》 1권본에는 없었던 32인이 등장했다. 발해의 지리를 설명하는 〈지리고〉의 경우, 완전히 새로 썼다고 여길 만큼 고금의 지리지와 역사서들을 비교 분석해 발해의 지방행정구역을 치밀하게 규명하고 있다. 발해의 외교문서를 다루는 〈예문고〉에서는 당나라 현종이 발해 무왕에게 보내는 네 개의 서한을 추가해 당나라와 발해의 관계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4권본은 1권본에 비해 유득공의 논평이 크게 늘어났다. 이를 통해 발해사에 관한 그의 인식을 깊이 파악할 수 있다.

제국의 역사는 온전히 기록되지 않았다
우리가 완성시켜야 할 발해사
유득공의 《발해고》 4권본은 발해의 역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한층 심화시킬 수 있는 귀중한 책이다. 그럼에도 《발해고》 4권본은 미완의 원고라는 뜻의 ‘고(考)’가 붙어 있다. 《발해고》를 처음 세상에 내놓을 때, “감히 정식 역사서로 자처할 수” 없다고 밝힌 유득공의 고뇌가 4권본에도 이어졌던 것이다.
《발해고》 4권본이 작성된 지 200여 년이 흐른 오늘날, 발해는 다시 한 번 우리 앞에 부활하고 있다. 자국의 이익을 위해 한국의 역사를 왜곡하는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에 대항해 우리 민족의 주요한 역사적 전거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발해는 온전하게 우리 역사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다. 발해 역사의 객관적·실증적 연구가 아직도 많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잊혀진 제국 발해를 향한 치열한 탐구정신의 결과물이자,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진정한 발해사를 인식하는 주춧돌이 될 것이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