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땐 그 길이 왜 그리 좁았던고 - 한국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 나혜석 타계 60년만에 아들 김진교수가 처음 밝히는 가족 이야기
· 한국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 나혜석의 타계 60주년에 즈음하여 아들
김진 교수(前 서울 법대 교수)가 처음 밝히는 가슴 찡한 가족 이야기
· 나혜석, 김우영 부부가 이혼한 사연
· 나혜석과 일엽 스님의 우정
· 김우영, 양한나(독립운동가, 최초의 여자 경찰서장), 장택상(경찰청장)의
이야기
나혜석은 누구인가?
나혜석(1896-1949)은 일본 도쿄 미술전문학교를 졸업, 조선미술전에 5회 특선, 1921년에 첫 개인전 개최, 1926년 파리에서 그린 “정원화”가 도쿄에서 개최된 “니카덴(二科展)”에 입선한 한국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이다. 대표작은 “스페인 해수욕장”, “누드” 등이다.
한편, 문필활동도 활발하게 하였고 “경희”, “정순” 등의 단편소설을 발표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파리 체류중 천도교 교령 최린(3.1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 중 한 명임)과의 염문이 있었고 나중에 최린을 정조 유린죄로 고소한 사건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적도 있다.
남편 김우영과 이혼하고 유랑하다가 한때 공주 근처 마곡사에서 수도생활을 했지만 1949년에 행려병자로 객사했다.
고향인 수원시에는 “나혜석 거리”가 있다.
나혜석과 김우영의 둘째아들.
철들기 전에 집을 나간 어머니가 대전중학교 시절 불쑥 학교로 찾아왔다.
남루하기 짝이 없었던 옷차림에 눈물만 흘리다 사라진 어머니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나혜석 사건 후 세상 모든 일에 관심을 잃은 불우한 아버지를 옆에서 보면서 어머니에 대한 원망이 컸다. 나중에 어머니가 자식에 대한 그리움으로 몸부림치고 끝내는 형려병자로 사망한 사실을 알았다.
고려대 법대를 나와 미국예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법대교수를 역임하고 다시 도미해 일리노이 주립대(어바나 샴페인), 캘리포니아 웨스턴 법대 교수를 지낸 후 정년 퇴직했다. 현재 샌디에이고 거주.
저자 소개
프롤로그
1. 너무 길었던 여행
2. 종달새야, 너는 어디까지 오르니
3. 아버지 집으로 들어가다
4. 나는 나혜석이다
5. 새는 밖으로 날고 싶어 운다
6. 새어머니
7. 병원비와 꿀통
8. 내가 네 어미다
9. 미술학사에 온 일엽스님
10. 여류화가 나혜석씨 최린 상대 제소
11. 선수암 그리고 수덕여관
12. 그 해 늦가을
13. 장덕수 교수
14. 박 변호사
15. 불쌍한 어머니 불행한 아버지
16. 네가 나혜석의 딸이냐
17. 첫 여자경찰서장 양한나
18. 왜 하필이면 김우영입니까
19. 반민특위
20. 반민 기준이 뭡니까
21. 서대문 형무소
22. 병보석 출감
23. 처음 아버지와 함게 눕다
24. 수덕사로 떨어진 별
에필로그
에필로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