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의 리더십
고구려의 유리왕부터 조선의 정조까지 역사 속 제왕들의 리더십! 고구려 유리왕에서부터 조선 정조까지 고대 제왕 20명의 리더십과 국가 경영 능력을 면밀히 살펴본 책.『제왕의 리더십』은 역사학자들이 쓴 제왕의 국가경영 분석서로, 과거에 왕들이 어떻게 난국을 타개하고 어떤 국가 정책을 펼쳤는지를 통해 우리 시대 위기의 근원인 리더십 문제를 새로이 모색한다. 고구려에서는 유리왕과 광개토대왕을, 백제에서는 무령왕과 의자왕을, 신라에서는 진흥왕, 선덕여왕, 신문왕을 대표로 뽑았다. 그리고 고려에서는 태조, 성종, 숙종, 의종, 충선왕, 공민왕을, 조선에서는 태종, 세종, 광해군, 효종, 숙종, 영조, 정조를 뽑아 오늘날 현대사회에도 적용할 수 있는 리더십 원리를 살펴본다. 전기적인 초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왕의 시대를 보는 눈이나 상황을 반전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리더십의 원리와 국가 경영 전략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역사와 경영을 접목하였기 때문에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고대 제왕들의 삶도 엿볼 수 있어 역사지식도 제공한다.
김기흥 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문 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경제사로부터 설화에 이르기까지 고대사 전반에 걸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대중과 폭넓게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구려 건국사』(창비, 2002),『새롭게 쓴 한국고대사』(역사비평사, 1993) 등이 있다. 박종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국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전통과 현대의 접목, 역사와 현실의 일체화를 통한 새로운 역사상 수립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안정복, 고려사를 공부하다』(고즈윈, 2006),『5백 년 고려사』(푸른역사, 1999) 등이 있다. 신병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 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방대한 자료를 통해 선조들의 투철 한 기록정신과 품격 있는 왕실문화를 연구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조선 최고 의 명저들』(휴머니스트, 2006),『66세의 정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효형출판, 2001) 등이 있다.
고대의 제왕 한국 고대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리더십 국가의 기틀을 다진 제2의 건국시조 l 유리왕 드넓은 영토를 개척한 웅지의 영웅군주 l 광개토대왕 백제의 총체적 위기를 해결한 경륜가 l 무령왕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믿음의 인재 경영 l 진흥왕 여왕의 힘과 리더십 l 선덕여왕 망국을 재촉한 자만심 l 의자왕 통합을 위한 결단과 추진력 l 신문왕 고려의 제왕 고려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리더십 포용력과 균형감각을 지닌 통합군주 l 태조 국가 개혁 프로그램의 완성자 l 성종 난국돌파를 위한 부국강병책 l 숙종 왕권의 신성성을 추구한 비운의 국왕 l 의종 내치에 어두운 실패한 이상군주 l 충선왕 현실에서 실패한 미완의 개혁가 l 공민왕 조선의 제왕 권력 일원화를 추구한 냉혹한 군주 l 태종 함께하는 정치의 표본 l 세종 명분보다 실리를 택한 현실주의자 l 광해군 실현 불가능한 목표, 북벌 l 효종 붕당정치기를 돌파한 강한 카리스마 l 숙종 왕조의 중흥을 이끈 뚝심의 추진력 l 영조 개혁군주의 실천과 좌절 l 정조 에필로그 찾아보기
김기흥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