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의사소통 (2판)
보건커뮤니케이션은 그동안 하나의 학문영역이라기보다는 의사, 약사, 간호사 혹은 보건전문인들이 환자나 고객과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나 기술로 간주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보건전문인과 환자 혹은 피교육자와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업무수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과거에는 주로 의사들이 소비자들에게 의료적 지식을 전달했으나, 현재는 책이나 웹사이트, 신문, 잡지, 라디오, TV와 같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한다. 건강증진시대를 맞아 보건정보의 전달, 효과적인 건강메시지의 개발과 캠페인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됨에 따라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은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처럼 보건커뮤니케이션은 학문영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건커뮤니케이션에 입문하는 학생들이나 종사자들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서가 드물다. 특히 보건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근거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대처하는 전략을 제시하는 교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교육방법론>,<보건교육사를 위한 보건학>등 저자
제Ⅰ부 보건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장 보건커뮤니케이션의 개념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이론 및 모델
제3장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제4장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제5장 대인적 보건커뮤니케이션
제6장 보건행태 이론
제Ⅱ부 보건커뮤니케이션의 실제
제7장 공중 보건커뮤니케이션
제8장 미디어와 보건커뮤니케이션
제9장 보건의료조직과 보건커뮤니케이션
제10장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제11장 문화와 보건커뮤니케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