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진단관리 실무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진단관리 실무

저자
김회창
출판사
보문각
출판일
2016-01-22
등록일
2016-07-22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07KB
공급사
우리전자책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우리나라의 건강진단의 종류는 국가검진과 일반건강진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가검진은 ① 일반건강검진 ② 암검진 ③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④ 영유아 건강검진 ⑤ 학생건강검진이 있다. 일반건강진단에는 ① 근로자건강진단 ② 채용건강진단 ③ 특수건강진단 ⑥ 일반건강진단 ⑦ 종합건강진단 등이 있다.
건강진단관리 실무는 질병의 조기예방과 조기발견으로 삶의 질을 향상하여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효율적 관리운영에 따른 병원의 수익증대를 제고하는데 있다. 따라서 합리적인 업무수행을 위해서는 특성화 전략을 수립하여 내원한 수진자에게 최선의 서비스 제공과 검사진행 및 결과관리, 사후관리, 검진실적분석을 능률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오늘날 병원관리는 의료정책의 변화, 수가산정의 복잡화,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 고객의 기대수준 향상 등으로 최신 경영기법에 의한 수익창출과 수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품격 높고, 다양한 검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인 서비스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의료기관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건강진단은 국가건강검진, 일반신체검사, 종합건강진단, 특수건강검진 등 운영프로그램이 매우 다양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관리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관 간 검진 서비스경쟁이 날로 심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전략 수립과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건강진단의 질적인 향상이 요구된다.
본 교재는 교육부에서 현재 국가사업으로 추진하여 시행 중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 NCS)을 기반으로 한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업무 수준별로 체계화하여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역점을 두어 집필하였다. 또한 해당 업무수행을 위한 필요지식을 습득 후 수행순서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현장실무위주로 집필하였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