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개별’이나‘특수’가 ‘일반’에 포섭되는 ‘일반’의 사례라면, 단독은 ‘개별적’이지만 ‘일반’에 포섭되지 않는 예외적인 것이다. 우리는 개별이나 특수일 때도 있고 단독일 때도 있다. 여기서 보편성, 객관성이란 무엇인가. 또 그것의 원천은 무엇인가. 남성들이 보편성, 객관성이라 규정해 놓으면 그것이 바로 보편적인 것이고 객관적인 것인가. 필요하다면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필요한 것인가. 또 이러한 보편, 특수, 객관의 개념과 여성의 서사는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여성성이란 무엇이며, 여성들의 미학적 재현양식인 자전형식, 고백체, 구술체, 여성역사소설, 퍼즐맞추기 형식, 조각이불의 형식 등은 이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경기여고를 졸업하고 연세대 국문학과에서 학부, 석사, 박사를 마쳤다. 현재 명지대학교 기초교육대학 교수이며,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이다.
저서: "1910년대의 한국문학과 근대성","1960년대 문학연구"(공저),"문학 속의 여성"(공저), "한국현대예술사대계"4(공저), "19740년대 장편소설의 현장"(공저), "역사소설이란 무엇인가"(공저)가 있으며.
편저: "슬픈 모순(외)"가 있다.
책머리에
서론-만들어진 보편과 젠더화된 근대미학
1부 신여자의 근대적 진정성의 형식
여성의 신여성 기획에 나타난 내부 식민담론과 타자성의 주체
1950년대 여성소설의 전쟁인식과 '기억의 정치학'
감각적 인식과 리얼리티의 문제
문화주의, 기독교, 반공주의, 가부장제의 속화된 결합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구원의 문제와 여성의 인식 방법
여성의 내면화 방식과 퍼즐맞추기 형식
'대모신의 정체성' 찾기와 여성적 글쓰기
여성 영웅서사와 대모신의식
여성역사소설로서의 토지와 여성 영웅성
엄마의 근대화 기획과 '말걸기'
2부 반공주의의 젠더 전유 양상과 '젠더화된 읽기'
선택 논쟁의 비평사적 의미
군사주의의 젠더 전유 양상과 여성 만보객
남성/여성 만보의 담론화 과정과 감각적 인식
참고문헌
김복순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