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보건·복지
본서에서는 고령화·노화에따른 각종 질환, 노인보건의료의 현황과 제도, 치매노인과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황 및 치매노인 요양을 둘러싼 실무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등을 다루고 있으며 관련분야 전공자나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제1장 노인보건의료의 현황과 법 제도
I. 서론
II. 고령사회와 노인보건의료의 실태와 특징
III. 외국의 노인보건의료보장을 위한 법적 대응동향
IV. 노인보건의료에 관한 법제도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
V. 결론
제2장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현황과 과제
I. 서론
II.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요
III. 공적노인요양보장의 법적 구조
IV. 외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와의 비교 및 시사점
V.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운영실태와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VI. 요양서비스의 다양화와 급여확대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VII. 결어
제3장 치매노인의 현황과 치매관리법상의 개선과제
I. 서 론
II. 노인의 치매현황과 문제점
III. 치매관리법의 검토
IV. 외국의 치매관리의 비교 검토와 시사점
V. 치매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 요양인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VI. 결 어
제4장 치매노인의 장기요양보호를 둘러싼 현장의 사례
1. 치매노인은 「황홀한 사람」
2. 치매증과 함께 사는 실천의 시작
제5장 장기요양보험제도와 치매노인요양을 둘러싼 실무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1. 치매노인의 실태에 맞지 않는 장기요양인정
2. 치매노인케어의 도달점과 장기요양보험
3. 가족은 방문조사에 어떻게 임해야 좋을까?
4. 더 좋은 장기요양보험이 되기 위한 개선에 대한 제언
제6장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 치매노인개호
1. 시설정비의 지연문제
2. 이용자 부담의 문제
3. 치매노인을 위한 조건정비
4. 개호시간 산정방법과 그 문제점
5. 왜 치매노인의 판정이 낮게 되는 것일까?
6. 일본의 치매대책의 향후 방향과 시사점
제7장 노화와 질환
I. 노인의 질환
II. 암
III. 심뇌혈관계 질환
IV. 내분비계 질환
V. 생식기계 질환
VI. 뇌신경계 질환
VII. 근골격계 질환
VIII. 안과질환
IX. 귀 질환
X. 감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