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세상이 두려울 때마다, 그들에게 길을 물었다”
유시민이 전하는 지혜의 목록
100년 뒤에도 모든 젊음들을 뒤흔들
위험하고 위대한 이야기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 유시민, 그가 청춘의 시절에 품었던 의문들, 그리고 지금의 고민하는 젊은이들이 가지고 있는 뜨거운 질문에 '세상을 바꾼 한 권의 책'으로 답한다
한번쯤 해답 없는 질문들을 들고 방황할 때가 있다.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왜 세상은 이해할 수 없는 일들로 가득한지'. 그때 우연히 읽었던 낡은 문고본 하나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하고, 낯선 제목의 소설이 아픈 가슴을 위로하기도 하며, 때로는 뜻도 모르고 읽은 철학서 한 권이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삶의 갈림길에서 '오래된 지도'를 꺼내들다
어느 순간 같이 걸었던 사람들이 주변에서 사라지고, 서로 의지했던 사람들이 이제 의견이 같지 않을 때, 이미 지나온 길을 되돌아갈 수도 없고, 어디에서 어긋난 것인지 찾아내야 하는 지금, 유시민이 뜨거운 청춘의 시절에 함께 했던 책들을 다시 집어 들었다. 삶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책들, 갈림길과 장애물이 나타날 때마다 도움을 받았던 ‘낡은 지도'를 다시 꺼내든 것이다.
아버지의 서재에서 발견했던 『죄와 벌』, 지하서클 선배들이 던져놓고 갔던 불온서적 『공산당선언』 등. 이렇게 다시 집어든 책들은 크게 다른 모습으로 다가와, 깊은 곳에서부터 마음을 뒤흔든다. 그때는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빛깔 다른 생각들, 그때는 일부러 무시했던 흔들리는 물음들도 발견한다.
나와 1억 명이 함께 읽는 위대한 독서기
유시민이 집어든 14권의 책은 비단 한 개인의 추억이 아니다. 그 옛날 19세기 러시아의 가난한 대학생들이 읽었고,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독재의 시절에 맞선 한국의 청년들이 읽었던 책들이다. 무엇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막 세상에 발을 딛는 수많은 젊음들이 고민하는 문제에 해답을 주는 책이며, 인류의 ‘생각의 역사'가 담겨, 100년 뒤에도 다시 읽힐 책이다. “사람들은 왜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할까' “인간은 원래 이기적인 존재일까' “내 머리로 생각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시공간을 뛰어넘어 모든 인류가 고민했던 질문들에 답해왔던 위대한 책들.
왜 우리는 지금 그 책들을 다시 꺼내 읽어야 하는가. 하나의 책을 다시 읽고 또 읽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어떤 통찰을...“세상이 두려울 때마다, 그들에게 길을 물었다”
유시민이 전하는 지혜의 목록
100년 뒤에도 모든 젊음들을 뒤흔들
위험하고 위대한 이야기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지식인 유시민, 그가 청춘의 시절에 품었던 의문들, 그리고 지금의 고민하는 젊은이들이 가지고 있는 뜨거운 질문에 '세상을 바꾼 한 권의 책'으로 답한다
한번쯤 해답 없는 질문들을 들고 방황할 때가 있다.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왜 세상은 이해할 수 없는 일들로 가득한지'. 그때 우연히 읽었던 낡은 문고본 하나가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하고, 낯선 제목의 소설이 아픈 가슴을 위로하기도 하며, 때로는 뜻도 모르고 읽은 철학서 한 권이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삶의 갈림길에서 '오래된 지도'를 꺼내들다
어느 순간 같이 걸었던 사람들이 주변에서 사라지고, 서로 의지했던 사람들이 이제 의견이 같지 않을 때, 이미 지나온 길을 되돌아갈 수도 없고, 어디에서 어긋난 것인지 찾아내야 하는 지금, 유시민이 뜨거운 청춘의 시절에 함께 했던 책들을 다시 집어 들었다. 삶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책들, 갈림길과 장애물이 나타날 때마다 도움을 받았던 ‘낡은 지도'를 다시 꺼내든 것이다.
아버지의 서재에서 발견했던 『죄와 벌』, 지하서클 선배들이 던져놓고 갔던 불온서적 『공산당선언』 등. 이렇게 다시 집어든 책들은 크게 다른 모습으로 다가와, 깊은 곳에서부터 마음을 뒤흔든다. 그때는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빛깔 다른 생각들, 그때는 일부러 무시했던 흔들리는 물음들도 발견한다.
나와 1억 명이 함께 읽는 위대한 독서기
유시민이 집어든 14권의 책은 비단 한 개인의 추억이 아니다. 그 옛날 19세기 러시아의 가난한 대학생들이 읽었고,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독재의 시절에 맞선 한국의 청년들이 읽었던 책들이다. 무엇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막 세상에 발을 딛는 수많은 젊음들이 고민하는 문제에 해답을 주는 책이며, 인류의 ‘생각의 역사'가 담겨, 100년 뒤에도 다시 읽힐 책이다. “사람들은 왜 모두 부자가 되고 싶어할까' “인간은 원래 이기적인 존재일까' “내 머리로 생각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시공간을 뛰어넘어 모든 인류가 고민했던 질문들에 답해왔던 위대한 책들.
왜 우리는 지금 그 책들을 다시 꺼내 읽어야 하는가. 하나의 책을 다시 읽고 또 읽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어떤 통찰을 던져주는가. 한 시대를 흔들고, 한 사회를 무너뜨리기도 했던 ‘한 권의 책', 그 뒤에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읽는 힘'을 만난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 등으로 일반 독자층에게 알려져 있는 유시민은 1978년 서울대학교 사회계열에 입학하였고, 반독재 민주화운동으로 80년대에 두 차례 제적과 복학을 거듭한 끝에 1991년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당시 신민당에 입당하여 이해찬 의원과 함께 일하다가 1991년 서울시의회 선거를 계기로 탈당했다. 1992년에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당시 2년정도 한겨레신문 독일통신원으로도 활동했다.
1998년 1월 귀국하여 동아일보 ‘유시민의 세상읽기’, 한국경제신문 ‘유시민의 정치기사도’에 칼럼을 연재했고, MBC 라디오 ‘MBC 초대석 유시민입니다’, ‘MBC 100분 토론’ 진행자로 활동했다. ‘고학력 백수’, ‘지식 소매상’을 자처하며 시사평론가로 생활하다, 2002년 노무현 지지를 선언하며 개혁국민정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2003년 제16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으로 국회에 입성하였고 2004년 제17대 열린우리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2006년 2월부터 약 1년 4개월 동안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일하고, 다시 국회의원으로 복귀했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2000), <부자의 경제학 빈민의 경제학>(1992),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1994), <광주민중항쟁>(1990), <조선일보를 아십니까?>(1999), (2000),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2001), <노무현은 왜 조선일보와 싸우는가>(2002) 등과 러시아, 미국, 유럽 등의 <유시민과 함께 읽는 문화이야기> 시리즈, <대한민국 개조론> 등 많은 책을 펴냈다.
머리말
01 위대한 한 사람이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02 지식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03 청춘을 뒤흔든 혁명의 매력
04 불평등은 불가피한 자연법칙인가
05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06 진정한 보수주의자를 만나다
07 어떤 곳에도 속할 수 없는 개인의 욕망
08 권력투쟁의 빛과 그림자
09 슬픔도 힘이 될까
10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인가
11 우리는 왜 부자가 되려 하는가
12 문명이 발전해도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
13 내 생각은 정말 내 생각일까
14 역사의 진보를 믿어도 될까
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