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정책론(워크북 포함)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성숙된 논의를 통하여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통합을 제고하여야 한다는 자각과 노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는 2011학년도부터 사회복지 연계 전공과정을 개설하고, 교과과정 개편을 통해 종전의 사회복지행정론 교재에서 통합하여 다루던 사회복지정책 관련 내용을 분리시켜 사회복지정책론이라는 독립 과목에서 그 체계를 재정립하였다. 이에 따라, 본 교재는 과거 교재가 사실상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행정의 거의 모든 영역을 총괄함으로써 사회복지정책론 관련내용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고 다소 진부하였던 측면을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집필되었다.
나아가 본 교재는 사회복지사 공인자격증 취득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보다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특별히 사회복지정책론은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에서 전통적으로 고득점이 어려운 과목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정책학과 사회사상에 대한 각별한 주의와 심도 있는 학습이 필요하다.따라서 학생들은 기출문제를 단순 암기하기보다는 본 교재를 적극 활용하여 문제가 출제되는 핵심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노력함으로써, 문제의 형식이 변화하더라도 혼란에 빠지지 않고 정답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실력을 연마하기를 기대한다.
<사회복지 정책론(워크북 포함)> 저자
학습안내
제1부 서론
제1장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및 영역
제2장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이념 및 목표
제3장 사회복지정책 발달이론 및 이념모형
제2부 복지국가론
제4장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제5장 복지국가론과 사회사상
제3부 사회복지 정책과정론
제6장 사회복지 정책의제 및 대안의 형성
제7장 사회복지정책의 결정, 집행 및 평가
제4부 사회복지 정책분석론
제8장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및 경제적 효과
제9장 사회복지정책의 설계:할당 및 급여
제5부 사회보장론
제10장 사회보장 일반론
제11장 빈곤과 공공부조
제12장 사회보험 I
제13장 사회보험 II
제14장 사회보험 III
제15장 사회복지서비스
워크북
제1장 사회복지정책의개념 및 영역
제2장 사회복지정책의가치, 이념 및 목표
제3장 사회복지정책발달이론 및 이념모형
제4장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제5장 복지국가론과사회사상
제6장 사회복지 정책의제 및 대안의 형성
제7장 사회복지정책의결정, 집행및평가
제8장 사회복지정책의재원및경제적효과
제9장 사회복지정책의설계:할당및급여
제10장 사회보장일반론
제11장 빈곤과공공부조
제12장 사회보험 I:국민연금, 기초노령연금, 특수직역연금, 국민건강보험
제13장 사회보험Ⅱ:산재보험, 고용보험
제14장 사회보험 Ⅲ:노인장기요양보험, 긴급복지지원제도
제15장 사회복지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