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에서 행복해져라
무당처럼 40여 년 동안 길을 걸으며 꽃피운 길의 철학 우리나라 국토에서 찾아낸 사라져가는 것에 대한 증언 저자 신정일은 그동안 길 위에서 40여 년을 보냈다. 수많은 세월이 강물처럼 흘렀고, 참으로 먼 길을 걸어왔다. 강길, 산길, 바닷가 길 그리고 옛 사람들의 자취가 남아 있는 역사의 길을 걸으며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 길이 아니었다면 겪지 못할 무수한 일들을 경험했다. 모두가 우연 같은 필연, 아니, 운명이었다. 여러 갈래로 뻗은 길 위에서 나는 무수히 길을 잃었고, 그로 인해 크나큰 절망에 빠졌다가 새로운 길을 찾기도 했다. 대다수의 사람들처럼 정규교육을 받지 못한 나에게 길은 학교이자 도서관이었고 스승이었다. 이 책은 그 길 위에서 만났던 모든 사람, 모든 사물 그리고 시간 속에서 기억되었다가 소멸되어가는, 말하자면 ‘길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1부는 <길에서 만난 세상>에 대한 이야기다. 예전에는 십 년이면 강산이 달라진다는 말이 있었는데, 요즘에는 5년은커녕 한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강산이 변한다. 그만큼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다. 이렇게 주마간산으로 주변과 스치며 사는 세상에서 ‘걷기’는 세상 사람과 아름다운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여행이다. 제2부는 <길에서 나를 만나다>라는 주제의 글이다. 수많은 길을 걸어오면서 길 위에서 목숨을 잃을 뻔했던 적도 있었고 다칠 뻔했던 적도 많았지만 이렇게 살아 있는 것은 순전히 운이 좋았기 때문일 것이다. 온갖 위험과 고독 속에서 홀로 또는 여럿이 걸으며 깨달은 것은 길 위에서 내가 나를 만난다는 것이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만큼 서 있는가? 나는 어디로 가는가? 나는 항상 물었고 항상 걸었다. 제3부는 <길에서 만난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을 나는 모두 길에서 만났다. 내 운명을 결정지어 주었던 초등학교 선생님, 존경하는 김지하 선생님, 사단법인 우리땅걷기의 도반들 그리고 그 엄혹했던 1981년 여름 안기부 지하실에서 만났던 사람을 몇 년 후 다시 만난 것도 다 길 위에서였다. 제4부는 <길이란 무엇인가>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길 열풍이다. 여기저기 길이 만들어지고 수많은 사람들이 걷고 있다.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사람들이 걸어간 곳이 길이 되었고, 그 길의 외형이 넓어져 바닷길과 하늘길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보이지 않는 길이 만들어져 세계가 함께 소통하고 있다. 이 모두가 길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길의 역사나 길의 철학에 대한 담론은 시작되지 않았다. 길이란 무엇인가? 단순히 도道가 아닌 그 무수한 실체를 우리는 두 발로 걸어야만 느낄 수 있고, 사랑할 수 있다. 그런 연유로 길에서 만난 길의 사상, 길의 철학, 그것을 조금이나마 이 책에 담고자 했다. 오랫동안 길 위에서 나날을 보내다 보니 가족이나 친척, 친구들에게 소홀했고, 세상과 동떨어져 살다 보니 살아가는 일이 팍팍하기도 했다. 그렇게 오래 걸었던 길에서 나는 고독하고 쓸쓸했지만 행복하기도 했다. 글을 쓰는 내내 언뜻언뜻 스쳐지나가는 추억의 풍경들 때문에 가슴이 무거웠지만 그 길을 다시 걷고 싶은 생각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래서 푸시킨은 “현재는 언제나 슬프고 괴로운 것, 모든 것은 일순간에 지나가고 그리고 지나간 것은 다시 그리워지느니”라고 말하지 않았던가? 이 글을 이 땅에서 함께 걸었던 모든 도반들에게 바친다. 길을 걸으며 자주 하는 말이 있다. “길은 누구의 것인가? 만든 자의 것인가? 아니다.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 그러므로 그대가 걸으면 길이 되고 등불이 되어 그대의 길을 밝혀주는 그 길을, ‘걸어라, 그래서 행복해져라.’
저자 소개가 없습니다.
화보 _ 002 작가의 말_ 012 1장 길에서 만난 세상 마음에 있는 것을 모두 비우고 걷기_ 022 길에서 길을 잃기도 하고 길을 찾기도 한다 _ 026 산천을 걷는 것은 좋은 책을 읽는 것 _ 029 개에 대한 회상 _ 031 할 말과 음식은 조금씩 남겨두고 _ 034 자기의 비밀을 자기만 모른다 _ 037 불안의 정체_ 040 저마다 나름대로의 운명이 있다 _ 042 내가 모르는 나의 벽(癖) _ 045 내 집에 있어도 손님이라니 _ 048 자신의 공정 가격을 가진다 _ 052 꺾을 만한 꽃 있으면 그 당장 꺾으시게 _ 054 매 순간이 다른, 여행이라는 이름 _ 056 먼 길 떠날 때는 눈썹도 빼놓고 가라_ 059 좋은 사진을 찍는 법_ 063 길은 이전에도 있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있다 _ 066 해파랑길(동해 트레일)을 만들다 _ 068 백두대간 산자락에 마실 길을 만들자 _ 073 자연은 아름다운가 _ 078 2장 길에서 나를 만나다 죽느냐 사느냐, 그게 문제다 _ 082 길을 찾는 그대에게 _ 086 저승에도 커피가 있을까 _ 088 내가 잊어버리고 있는 것들 _ 092 한강을 건너던 기억 _ 096 낙동강을 건너던 기억 _ 100 익숙한 길에서 길을 잃다 _ 104 아직도 불안한 내 걸음걸이 _ 106 고난은 나의 힘, 슬픔도 나의 힘 _ 109 익명의 떠돌이로 살기 _ 111 바닥난 꿈을 채우기 위해 걸었다 _ 114 마음에 담겨 있는 길 _ 116 가만히 좀 기다려 봐 _ 118 이름을 고친다는 것 _ 120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_ 122 하나하나가 다 행복인데 _ 125 내가 사는 것이 어찌 그리 신기한지 _ 127 그 멀고 먼 길을 걸어서 나를 만나다 _ 129 길도 그 길이고 사람도 그 사람인데 _ 131 길만 있어도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_ 134 인생이란 결국 혼자가 아닌가 _ 136 생각이 크고 넓어지는 길 _ 138 3장 길에서 만난 사람 길에서 만난 사람 _ 142 민족시인 김남주 _ 145 김지하 시인과의 인연 _ 149 알 수 없는 인생의 길 _ 155 인생의 길에서 낯선 길을 만나다 _ 158 다만 조금 먼저 갈 뿐이다 _ 167 건널 수 없는 강 때문에 _ 170 용꿈과 로또 _ 172 경주 남산을 생각하며 _ 174 그리워지는 만물박사 _ 177 내 마음의 명당 _ 179 만식이에게 만식이의 안부를 묻다 _ 183 한강 상류에 살고 있는 이장수 씨 내외 _ 186 길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우리들의 운명 _ 189 선생이 아니고 도반이다 _ 191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 _ 193 우리는 무엇을 가지고 가는가 _ 195 큰 소리로 노래하며 세상을 걸었던 사람 _ 199 4장 길이란 무엇인가 길을 떠나기 전의 시간 _ 204 길을 가는 두 사람의 비유 _ 207 나의 방, 나의 피난처 _ 209 삶이 곧 길이다 _ 212 신선의 낙은 무엇인가 _ 214 걷기에 중독된 사람 _ 216 함께 걸었던 그 길을 회상하며 _ 220 떠난다, 떠날 수 있다는 말 _ 223 정든 땅 정든 사람 헤어지자니 서러워 _ 225 두고 온 설운 마음의 귀퉁이 _ 228 불멸과 혼돈의 시대에 새로운 길 찾기 _ 230 길을 잃어야 제대로 된 길을 찾는다 _ 232 바람은 도대체 어떤 소리를 낼까 _ 236 집 나오면 즐겁고 집에 들면 시름이라 _ 239 꿈속에서 꿈을 꾸다 _ 241 밖으로 나가 걸을 수 있다는 것 _ 244 걷다 보면 알게 된다 _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