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드러커 CEO의 조건
매니지먼트의 아버지 , 경영학의 제1인자 인 피터 드러커의 미공개 강연록 모음! 『피터 드러커 CEO의 조건』은 지식정보사회와 글로벌 경제를 맞이하여 기업 및 조직의 CEO들이 직면하는 각종 문제들에 관해 피터 드러커가 내 놓은 각종 해결책들이 담겨 있다. 드러커가 경영자들을 위해 마련한 세미나에서 말했던 내용들, 젊은 경영자들과 드러커와의 대화 내용, 강연내용, 저작 등이 집약되어 있다. 먼저 1부에서는 효율적인 기업의 원칙과 유능한 CEO의 조건을 소개하며 어떻게 경영을 해 나가야 하는지에 관한 기본기를 쌓도록 하였고, 2부에서는 기업가적 기능, 관리자적 기능, 사회적 기능 등 경영자의 3대 기능을 중심으로 현대 조직의 특질에 맞는 경제인이 되어 더 나은 미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3부에서는 글로벌 경제를 맞이하여 경영자들이 해야 할 일을 미래 기업세계에 대한 통찰과 함께 들려주고, 4부에서는 드러커 교수와의 경영대화, 5부에서는 드러커의 경영세미나가 이어진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들을 올바르게 연구하고 재검토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발전기회와 현실을 인식하고 경영자로써의 기능도 재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의 독서 포인트! 피터 드러커가 남긴 한 권의 저서를 번역한 것이 아니라 그 동안 드러커가 남긴 값진 이야기 중 경영자들이 명심해야 할 사항만 뽑아내 편집·번역한 책이다. 글로벌 사회 속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조직의 최고 위치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어떤 것들 보고 들어야 할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배울 수 있다.
지은이 피터 F. 드러커 Peter Ferdinand Drucker 시대를 앞서가는 경영 철학과 미래에 대한 놀라운 통찰력으로 널리 알려진 피터 드러커는 1909년 11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공무원인 부친과 의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양친과 친분이 두터웠던 프로이트, 슘페터, 폰 미제스, 토마스 만 등 많은 지식인들을 만난 것이 오늘날 그를 있게 한 자양분이 되었다. 1931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국제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33년 영국으로 건너가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등에 근무했다.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한 뒤 사라로렌스 대학, 베닝턴 대학, 뉴욕 대학에서 강의하는 한편, 1943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이었던 GM에서 2년간 경제 분석가로 일하게 되었다. 1946년 이 기간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해 《법인의 개념》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고, 이로써 학문적 분과로서의 경영에 대한 초석을 마련했다. 그 후 드러커는 GE, 코카콜라, 시티코프, IBM, 인텔 등의 대기업과 수많은 중소기업, 정부 부처, 국내외의 비영리 단체를 위해 컨설턴트로서 활동했다. 1950년과 1971년 사이에는 뉴욕 대학 비즈니스 스쿨의 경영학 교수를 역임했고, 1971년부터 캘리포니아 주 클레어몬트 경영대학원에서 사회학과 경영학을 가르쳤으며, 미국과 벨기에, 일본, 스위스, 스페인, 체코 등지의 대학에서 다양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과 1985년 사이에는 클레어몬트 대학의 포모나 칼리지에서 극동 지역 예술을 가르쳤다. 피터 드러커는 사회, 경제, 정치, 경영의 모든 주제를 다룬 뛰어난 저술가로서 《Next Society》 《21세기 리더의 선택》 《21세기 지식경영》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미래사회를 이끌어가는 기업가정신》 《단절의 시대》 《피터 드러커 자서전》 《경영의 실제》 등 30여 권 이상의 저서를 발표했다. 그의 저서는 20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번역되었고 총판매 부수는 600만 권을 넘어섰다. 2002년에는 미국 시민에게 수여하는 최고 훈장인 대통령 자유훈장을 받았고 2005년 11월 11일 96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옮긴이 이재규 1970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를 졸업한 후 현대자동차에 근무했고 영진약품에서 이사를 역임했다. 1981년 대구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에 부임한 후, 2005년 동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했다. 대구경북경영학회 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대구은행과 한국전기초자의 사외이사를 역임했고, 현재는 영원무역과 삼익THK의 사외이사, TBC대구방송의 비상임이사로 재직 중이다.《피터 드러커 평전》 《기업과 경영의 역사》 등 30여 권의 책을 썼고,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단절의 시대》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21세기 지식경영》 《경영의 실제》 《Next Society》등 피터 드러커의 저서를 포함하여 30여 권을 번역했다.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부 경영의 적격자 제1장 효율적인 기업이란 무엇인가? 기업 내부에서는 실적이 생겨나지 않는다. 문제 해결주의에 존재하는 패배사상 과거로부터 탈피하라. 효율적이기 위한 제1원칙 취약한 인식의 위험 제2장 유능한 CEO의 조건 무엇을 들어 유능하다고 말하는가? 유능함에 대한 질문 시간은 유일한 자원이다. 결과를 얻기 위해 접근하라. 일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라. 기대할 수 있는 것을 요구하라. 도구함 속을 파악하라. 유능함은 습득할 수 있다. 강점 위에 일을 구축하라. 제2부 경영자의 3대 기능 기업가적 기능, 관리자적 기능, 사회적 기능 - 제3장 미래를 위한 모색 제4장 현대 조직의 특질 지식과 주도성의 조직 새로운 매니지먼트의 필요성 개인으로부터 경영담당자로 제5장 어째서 경제인이어서는 안 되는가? 의사결정자의 분산화 현상 경영은 비법이 아니다. 제3부 글로벌 경제와 매니지먼트 새로운 현실 속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제6장 ‘세계경제’로의 돌입과 사회의 변화 현실경제를 바꾸는 것 ‘공통의 지각’을 창출함 농업 생산성에의 투자 거주와 환경의 변화 자원관리에 대한 전통의 파괴 지식이야말로 값비싼 기본자원이다. 강력한 정부와 기업가의 협업 제7장 미래의 기업세계에 대한 통찰 이익이냐 분쇄냐 부상하는 ‘세계경제’의 모습 수출의 장래 계급투쟁에서 민족투쟁으로 빈곤 속의 위기와 기회 제8장 새로운 경제의 중심 지식근로자 지식근로자의 관리 주목받는 ‘지식산업’의 성과 기술발전을 예언하게 만드는 것 제9장 사회는 경영자에게 의존함 제4부 피터 드러커 교수와의 경영대화 제10장 경영대화 Ⅰ - 경영자 제11장 경영대화 Ⅱ - 다양화 제12장 경영대화 Ⅲ - 조직구조 제13장 경영대화 Ⅳ - 인간관리 제5부 피터 드러커의 경영세미나 제14장 경영세미나 Ⅰ 인재는 기업의 규모와 관계가 없다. 초점을 기업 외부에 맞추라. 종합데이터처리(IDP) 시스템과 매니지먼트 IBM의 비효율을 통해 배우는 것 창조성 개발을 부르짖는 것의 공허함 범해서는 안 되는 기본적인 다섯 가지 잘못 경영은 사상이다. 제15장 경영세미나 Ⅱ 기업이익은 왜 필요한가? 매니지먼트는 정상적인 상태에 대한 도전이다. 자명한 이치를 재확인하라. 경영의 사명은 인간자원의 관리이다. ‘인간’에 대한 책임과 매니지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