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 - 물리학으로 나, 우리, 세상을 이해하는 법
대한민국 최고 교수진의 지식 공유 프로젝트 ‘인생명강’
내 삶에 유용한 지식 콘텐츠를 다채널로 즐긴다!
인생에는 답안지가 없고, 어른들에게는 학교도 스승도 없다. 사는 게 힘들고 앞날이 막막할 때 우리는 어디에서 길을 찾아야 할까? ‘인생명강’은 전국 대학의 명강의를 엮은 시리즈로, 오늘을 살아갈 지혜와 내일을 꿰뚫어보는 인사이트를 선사한다. 캠퍼스의 경계를 허물고 학문의 문턱을 뛰어넘는 ‘인생명강’을 통해 나를 변화시키는 사유의 힘, 세상을 보는 시야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인생명강’은 다양한 분야 대표 교수진의 강의를 독자들의 삶에 유용한 지식으로 재구성한 도서 시리즈이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명강의 콘텐츠.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을 도서-유튜브-팟캐스트-온라인 강연으로 만날 수 있다. 회사, 가정, 인간관계에서 지혜가 필요한 직장인,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 인생의 고비마다 솔루션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일상에서 손쉽게 명강의를 보고 듣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거대한 세상 속 특별한 나를 발견하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철학적 질문에 대한 물리학의 대답
‘나’에 대한 호기심은 누구에게나 있다. 나는 어디에서 왔을까? 내 몸과 내가 마시는 공기는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을까? 내가 겪게 될 미래는 이미 정해져 있을까? 존재의 의미, 탄생의 기원, 미래의 예측 가능성 등 인간이라면 한 번쯤 던지게 되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물리학에서 찾아보자.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는『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에서 “나를 이해하는 방법의 하나는 나를 둘러싼 ‘바깥’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내가 살아가는 우주가 시공간적으로 얼마나 거대한지, 내 몸을 구성하는 원자의 특성은 어떠한지, 내가 가진 에너지는 어떻게 타인에게 전달되는지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다 보면 자기 자신의 가치와 삶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우주의 크기는 반경 465억 광년이다. 지구의 크기를 비교하면 그 안을 살아가는 인간이 얼마나 보잘것없고 작은 존재인지 깨닫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그 작은 행성 안을 살아가다 만나는 일이 얼마나 놀랍고 소중한지 역설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저자는 물 분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만들어내는 얼음의 특성을 보고 관계의 의미를 설명한다. 이처럼 저자는 과학적 사실에서 철학적인 통찰을 이끌어낸다. 물리학적 해석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일은 감동적이다. 그동안 물리학을 딱딱하고 어렵게만 느꼈던 사람 혹은 과학이라면 무조건 외면하기 바빴던 문과생에게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다.
『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에서 소개하는 물리학은 어려운 학문이 아닌 나와 세상을 들여다보는 유용한 도구다. 물리학을 탐구하는 여정의 도착점은 결국 ‘나’라는 존재다. 이 책에서 다루는 물리학을 이해하고 나면 과학이라는 새로운 시선으로 나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우주, 원자, 시공간, 엔트로피, 고전역학-
존재하고 살아가고 관계 맺는 모든 순간에 물리학이 있다!
『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에서는 ‘나’ ‘우주’ ‘관계’ ‘모습’ ‘만남’ ‘미래’ ‘선택’이라는 7가지 주제를 다룬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우주에 대한 깊은 이해는 결국 나를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강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우주 공간의 경이로움, 자연과 인간의 모습을 바라보는 과학자들의 사고방식을 설명하며 나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디딘다.
2강에서는 자연과 우주를 탐구했던 과학자들의 관점을 살펴본다. 물리학자가 세상을 향한 호기심과 탐구로 얻어낸 법칙과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과학의 발전에 따라 인간이 우주와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다루고 있다. 3강에서는 ‘관계 과학’이라고도 할 수 있는 통계물리학을 통해 나와 타인 그리고 세상의 연결고리를 분석한다.
물리학은 우리의 생김새가 어떻게 결정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되기도 한다. 4강에서는 내 몸은 왜 커다란 행성처럼 동그란 모양이 아닌지, 햄스터처럼 털로 덮여 있지 않은지 등을 물리학으로 설명해 인간의 모습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돕는다. 5강에서는 우주와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원자의 특성을 설명하며 텅텅 비어 있는 원자로 이루어진 우리가 어떻게 세상에서 만날 수 있는지 그 소중함에 대해 따뜻한 말을 건넨다.
6강에서는 항상 미래를 궁금해하고 앞날을 예측하고 싶어 하는 우리에게 ‘나의 미래를 알 수 있을까? 어떤 오늘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과학적이고도 인문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마지막 7강에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의미 있는 문제의식을 던진다.
아인슈타인은 “우주에서 가장 이해가 불가능한 일은 바로 우리가 우주를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제한된 이성과 과학으로 세상을 이해하려고 했던 인간은 이토록 경이로운 존재다. 이제 그 경이로운 여정을 함께 떠나보자. 지극히 인간적인 물리학의 면면을 살피다 보면 어렵게만 느꼈던 물리학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최고 교수진의 지식 공유 프로젝트 ‘인생명강’
내 삶에 유용한 지식 콘텐츠를 다채널로 즐긴다!
인생명강은 전국 대학 교수진의 명강의를 엮은 시리즈로,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엮은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의 자매 브랜드이다. 대한민국 대표 석학들의 강의를 우리 삶에 유용한 지식 콘텐츠로 재구성해 도서뿐만 아니라 온라인 강연, 유튜브, 팟캐스트, 인스타그램을 통해서도 손쉽게 만날 수 있다. 회사에서, 가정에서, 인간관계에서 지혜가 필요한 직장인, 진로를 고민하는 청소년, 인생의 고비마다 솔루션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각 분야 최고 전문가가 펼치는 명강의를 손쉽게 보고 듣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도서 시리즈
01 『보이지 않는 침입자들의 세계』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02 『내가 누구인지 뉴턴에게 물었다』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 영국 워릭대학교 수학과 김민형
- 명지대학교 경제학과 김두얼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호근
-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이진우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권수영
- 건국대학교 철학과 김석
- 경희대학교 사학과 강인욱
-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정재찬
- 연세대학교 철학과 조대호
* 인생명강 시리즈는 계속 출간됩니다!
▶ 인생명강 인스타그램 instagram.com/lifeclass21
▶ 유니브스타 유튜브 youtube.com/유니브스타
▶ 유니브스타 강연 book21.com/lecture
▶ 유니브스타 팟캐스트 audioclip.naver.com/channels/345
* 유니브스타는 인생명강과 서가명강이 함께하는 북이십일의 강연 브랜드입니다.
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서울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초전도 배열에 대한 이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어려서 작은 천체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며 과학의 세계를 동경했다. 결국 물리학자가 되어 교육과 연구를 즐기는 덕업일치의 삶을 살고 있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구성 요소로 이뤄진 복잡계의 거시적인 특성을 주로 연구한다. 특히 사회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과학의 시선으로 이해하는 연구에 관심이 많다. 합리적인 과학적 사고방식이 더불어 사는 미래를 가져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변화를 꿈꾸는 과학 기술인 네트워크(ESC)’의 3기 대표와 한국 물리학회 대중화 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세상물정의 물리학』, 『관계의 과학』, 『김범준 선생님이 들려주는 빅데이터와 물리학』 등을 저술했다.
서문 나도 모르는 나를 찾는 물리학의 여정
1강 [나] ‘나’를 발견하는 물리학의 아름다움
거대한 우주 속에서 나를 발견하는 시간
시간과 공간의 틀로 나를 본다면
인간과 자연을 바라보는 과학의 시선
무지의 바다 앞에서 앎의 조약돌을 줍는 기쁨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2강 [우주] 나를 알기 위해 우주를 보다
하늘을 보고 날짜와 시간을 헤아리다
세계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을까
프톨레마이오스 대 코페르니쿠스
케플러의 슬픔 그리고 기쁨
뉴턴이 본 세상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3강 [관계] 당신과 나 사이의 과학적 연결고리
티끌 모아 태산을 이해하다
복잡한 도시에서 일어나는 일
현실을 바라보게 해주는 여러 가지 제도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 엔트로피
우리는 고립된 섬이 아니다
서로에게 천천히 작용하는 관계의 소중함
대칭으로 본 세상의 아름다움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4강 [모습] 나의 모양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동그란 것과 동그랗지 않은 것
어린 왕자가 사는 소행성의 비밀
그렇게 생긴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걸리버 여행기와 현실 속의 데이터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5강 [만남] 거대한 세상 속 우리라는 기적
보이저호의 우주여행
세상은 텅텅 비어 있다
인간을 구성하는 원자의 모습
우리는 서로에게 닿을 수 있을까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6강 [미래] 예측할 수 없기에 삶은 흥미롭다
나의 미래를 알 수 있을까
미래는 이미 결정되어 있다
카오스, 결정되어 있지만 예측은 할 수 없다
알 수 없는 것이 훨씬 더 많다
어떤 오늘을 선택할 것인가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7강 [선택] 달려오는 미래,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인간이 아닌 또다른 지적 존재를 창조하다
240 인공지능의 지적 능력이 인간을 뛰어넘는다면
247 인공지능과 함께 조화로운 삶을 살아가는 법
251 기후 변화, 우리 모두의 앞에 놓인 위기
Q/A 내 인생을 위한 질문
인생에 지혜를 더할 요약정리 키워드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