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배우는 릴레이 시퀀스제어 완전정복 (2판)
머리말
공장자동화의 기본은 무엇보다도 각종 전기부품을 사용목적에 맞도록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설계했던 동작결과를 얻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성능이 좋은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부품에 신호를 주고 동작하게 만드는 것은 부품의 특성을 얼마나 많이 이해하고 실제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에 전기가 흐르게 연결하는 것이 우선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주변에 프로그램은 잘하지만 부품의 연결(배선, 또는 와이어링 작업)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동료들이 있다. 학교에서 배웠던 회사에 입사하고 선배에게 배웠든 기초부터 순서에 맞게 체계적인 학습을 하지 못한 결과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현장에서 운영 중인 장비의 센서가 고장이 나서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프로그램 고수라도 센서를 직접 교환하지 못한다면 그간 쌓아 왔던 자동화에 대한 자신감은 아마도 발바닥 아래로 추락하고 있음을 스스로 느끼게 될 것이다. “나는 프로그램만 잘해“ 라고 말한다는 것은 ”나는 자동화의 절반 밖에는 못한다”라는 말과 동일한 것이다.
부품간의 배선작업은 “부품의 전기적인 특성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으냐”에 따라서 작업의 완성도는 달라진다. 전기가 부품에 잘못 인입된다면 한순간에 부품들은 망가지거나 다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신뢰성을 상실하게 된다. 고성능의 부품들은 가격도 상상 이상의 범주에 있기도 하다. 미리 걱정부터 하라는 것 같지만 체계적인 학습이 필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 꺼내든 말이다. 부품의 동작과 작동원리는 같은 부류에서는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지식의 습득이 된다면 유사한 부품은 자연히 사용방법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다. 물론 부품의 사용자설명서(매뉴얼)의 내용을 먼저 습득한 뒤에 생기는 자신감을 말한다.
사용자설명서에는 그 부품의 전기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배선방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기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엔지니어에게는 꼭 필요한 지침서인 것이다. 처음은 누구나 어렵다고 느끼지만 한 번 보다는 두 번 그리고 필요할 때마다 한 번씩 찾아서 필요한 내용을 습득하도록 하자. 많이 볼수록 사용자설명서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느낌을 얻는 순간 자신의 지식이 한층 풍부해 졌다는 반증이 된다.
궁금한 내용을 누구에게 물어볼 수 있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은 직장생활에서 행운아인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그렇다고 현실에 낙담하지 말고 스스로 노력하여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을 찾도록 하자. 월급이 적다고 불평하지 말고 기술력을 향상시켜 그에 맞는 대우를 받도록 노력하는 것이 좀 더 설득력이 있는 엔지니어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공부는 학교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필요한 지식은 그 범위가 무궁무진하지 않은가? 한 분야에 박사라는 타이틀을 갖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금전적인 투자가 필요한지 모두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모두가 아는 것은 기본 상식이고 잘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 전문가라는 말을 듣는다면 희소성의 원칙에 따라 그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된다고 믿고 있다. 무덤에 들어가기까지는 하기 싫어도 해야만 하고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공부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용적인 면에서 획기적인 것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부품을 사용하는 데 조금이라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실제 사용하는 사례가 많은 회로에 대해 실습할 수 있도록 예제를 수록하였다. 하지만 충분히 많은 내용을 담기에는 책장의 수가 제한이 있었다는 점에 독자들의 양해를 구해본다.
<2축 서보모터 완전정복> 저자
chapter 01 시퀀스 제어의 기초
chapter 02 신호입력부에 해당하는 부품들
chapter 03 제어부에 사용하는 릴레이와 SSR
chapter 04 구동부에 해당하는 부하(Load)
chapter 05 전자접촉기와 전자개폐기
chapter 06 전선(Wire)과 단자대
chapter 07 전기패널(Panel)
chapter 08 직류(DC)와 교류(AC)
chapter 09 튜브 라벨링
chapter 10 배선정리 부품들
chapter 11 접지 일반
chapter 12 시퀀스 제어계 표현 방법
chapter 13 시퀀스 제어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