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케어의 복지정치
이 책은 OECD 주요국들이 채택하고 있는 국가주도의 전국민 건강보장체계가 보편적일 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미국만이 그런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복지정치사적 배경과 미국이라서 가능한 건보개혁의 방향과 한계를 기존 관점들과는 다른 시각에서 설명해 나간다. 또한 역대 행정부에서도 건강보장체계의 문제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그 개혁에는 실패해왔는데, 이전 대통령과는 달리 오바마 대통령에 이르러 정치적 생명을 걸면서까지 건보개혁을 과감히 추진하게 된 배경을 담고 있다.
제주국제대학교 영어통역과 학사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사
제주한라대학교 복지행정과 강사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강사
[아세안(ASEAN)의 외교.안보 공동대응정책 연구]
[제주도지사 재보궐 선거의 승패요인 분석]
[제주형 평화모델 정립에 관한 시론]
[정부의 국책사업 표류와 사회적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건강보험 개혁에 관한 복지정치학적 연구]
머리말
Chapter 01 서론
Chapter 02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Chapter 03 미국 건강보장체계의 구조적 문제점
Chapter 04 오바마 행정부의 건보개혁 과정과 제약요인
Chapter 05 오바바 행정부의 건보개혁 이후 과제와 전망
Chapter 0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