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 이론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개인적인 차원의 의사소통 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인간 개체와 개체 간에 이루어지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현상이다. 인간관계의 핵심이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그것을 어떻게 추구해 나갈 것인가 하는 문제를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풀어나간다.
대구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비롯해 영상학과 저널리즘 등을 가르친다. 경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임 연구원,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한국방송학회 이사 및 산학협력위원을 역임했다. KBS 뉴스 옴부즈맨 위원과 TBC 대구방송 시청자 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무료신문 연구』(공저)와 『뉴스수용자의 진화』(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공역), 『사회자본』(공역), 『저널리즘학 핸드북』(공역) 외 다수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 “가상공간 내 정치토론, 의견의 질, 그리고 시민참여”, “미디어와 사회자본의 관계” 등 다수가 있다.
커뮤니케이션, 인간관계의 외나무다리
0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02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의미의 조정 관리
03 대인 관계 속으로 침투: 사회적 침투 이론
04 연인 관계의 변화무쌍: 관계적 변증법
05 가족 관계의 특수성: 상호작용 관점
06 문화적 이방인과의 관계: 불확실성 감소 이론
07 거짓말쟁이의 관계 맺기: 대인 기만 이론
08 공간 일탈의 예측치 못한 효과: 기대위반 이론
09 행동을 통한 관계 변화: 인지 부조화 이론
10 인간관계의 강자: 구성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