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를 위한 상처받을 용기 - 아들러 심리학의 행복 에너지
치매에 대한 두려움은 무지에서 비롯됐다
아들러는 인간의 ‘고민’은 관계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또한 이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과 의지가 있다면 실수와 잘못을 하더라도 충분히 극복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중년의 자신과 노년인 부모와의 관계는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관계이다. 병든 부모를 이해해야 하며 간병할 때의 어려움 또한 받아들여야 한다. 간병 시 가장 힘든 경우는 치매 에 걸린 부모를 마주할 때이다. 치매는 5,60대가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자 80세 이상 노인들 3명 중 1명이 앓고 있다. 더 이상 남의 일로 보기 힘들며 두려워만 할 수도 없다. 전문의들은 두려움은 무지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치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경험을 통해 치매에 대해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려주며 치매를 포용하고 병든 아버지와의 관계를 신뢰와 이해로 쌓고자 한다. 무엇보다 긍정과 여유를 갖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행복한 삶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다.
중년의 나와 노년의 부모와의 관계
노년의 부모를 대할 때는 과거의 부모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어린 시절 부모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해 주는 어른이었지만 그것은 이상 속 부모이다. 따라서 과거의 부모, 이상적인 모습의 부모에 연연하지 말아야 하며 현실의 부모와 다르다고 해서 받는 상처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가 필요하다. 현실 속 부모를 제대로 마주봐야 부모와 자식 간의 원만한 관계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는 부모가 아프든 아프지 않던 마찬가지다. 부모와 사이좋게 지내려는 노력은 불가능하지 않지만 어렵다. 부모의 개성을 인정해야 하며 ‘왜’라는 질문보다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저자는 부모의 존재 자체, 살아 있음 자체를 인정해야 하며 자신이 나이 든 부모에게 무언가를 해 주었다고 해서 고맙다는 말을 듣고자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런 말을 기대한다면 그 말을 듣지 못했을 때 실망한다. 관계의 매 순간, 그 순간에 충실해야 한다. 무언가를 시작하고 미완성으로 끝나더라도 순간을 즐겨야 하며 이를 우리는 나이 든 부모를 통해서 배울 수 있다.
철학자. 1956년 교토에서 태어나서 현재까지 교토에 살고 있다. 고등학생 시절부터 철학에 뜻을 두었다. 교토대학교 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만기퇴학(滿期退學)을 했다. 전공은 철학, 그중에서도 서양고대철학, 특히 플라톤철학인데 그와 병행해 1989년부터 ‘아들러 심리학’을 연구했다. 아들러 심리학과 고대철학에 관해 왕성하게 집필 및 강연 활동을 펼쳤고, 정신의학병원 등에서 수많은 ‘청년’을 상대로 카운슬링을 했다. 일본아들러심리학회가 인정한 카운슬러이자 고문이다. 한국과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어 아들러 심리학의 새로운 고전이 된 『미움받을 용기』 출간 후에는 아들러가 그랬던 것처럼 세계를 더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국내외에서 많은 ‘청년’들을 상대로 보다 활발하게 강연 및 상담 활동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알프레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강의(個人心理學講義)』『인간은 왜 신경증에 걸리는 걸까(人はなぜ神經症になるのか)』가 있으며, 저서로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미움받을 용기(嫌われる勇氣)』를 비롯해『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アドラ-心理學入門)』 등 여러 권이 있다. 이 책에서는 원안을 담당했다.
여는 말
[제1장] 힘들지 않은 간호는 없다
[제2장] 치매의 이해
[제3장] 부모와 어떻게 관계를 맺을 것인가
[제4장] 간호에 도움을 요청하다
[제5장] 앞으로의 간호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