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경제학 - 불협화음으로 가득 찬 전쟁과 경제의 이중주
불협화음으로 가득 찬 전쟁과 경제의 이중주
전쟁에서 경제는 얼마나 중요하고, 전쟁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어떻게 하면 전쟁을 피할 수 있고,
피치 못해 전쟁을 치러야 한다면 어떻게 싸워야 할까?
핵전쟁은 일어날 수 있을까?
[군사경제학 3부작] 제2탄!
경제적 관점 및 게임이론 ㆍ 군수의 관점에서 본 통합적 전쟁분석서
로마를 두려움에 떨게 했던 카르타고의 한니발, 그랑 아르메를 이끌고 전 유럽을 휩쓴 나폴레옹, 이 두 사람은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많은 전투에서 승승장구한 군사적 천재라는 공통점이 있다. 한니발이 보여준 양익포위 섬멸전과 나폴레옹이 보여준 포병의 집중과 내선 작전은 오늘날 전술교본에도 실릴 정도로 대표적인 전술이다. 그러나 이 두 사람에게는 또 하나의 공통점이 더 있다. 그것은 바로 무수히 많은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결국에는 전쟁에서 지고 만 군인이라는 점이다.
이처럼 아무리 전투에서 이겨도 전쟁에 이긴다는 보장은 없다. 전쟁이 일련의 전투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쟁의 승리에는 전투의 승리만으로 담보할 수 없는 다른 요소들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전투에는 졌지만 끝내 전쟁에 승리한 쪽에는 몇 가지 조건이 있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경제력의 확연한 차이다. 또 다른 하나는 적국에게 쉽게 점령당하지 않을 영토, 다시 말해 종심 방어를 가능하게 하는 지리적 여건이다. 이러한 조건들은 외생적으로 주어진 변수기 쉽다. 당장 어떻게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그러나 틀림없는 사실은 전쟁을 논하면서 경제적 관점을 도외시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경제학은 전쟁의 제반 사항, 즉 원인이나 효과 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쟁을 경제적 관점으로 본다는 것은 이익과 장려책, 그리고 선택 사이의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기도 하다. 전쟁에는, 그것이 설혹 잘못된 것일지언정, 경제적 동기가 개입될 수 있다.
이 책은 군사경제학 3부작의 두 번째 책으로, 전쟁을 경제적·수학적 관점에서 다룬다. 크게 보아 두 가지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하나는 게임이론으로 전쟁을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급, 병참, 군수의 관점으로 전쟁을 바라보는 것이다.
전쟁에서 경제는 얼마나 중요한가? 전쟁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어떻게 하면 전쟁을 피할 수 있고, 피치 못해 전쟁을 치러야 한다면 불확실성 하에서 어떻게 싸워야 할까? 선제공격의 이득이 전쟁을 일으키는가? 핵전쟁은 일어날 수 있을까? 최근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인해 ‘전쟁 위기설’이 난무하고 있는 지금, 이러한 질문들은 우리가 한 번쯤 생각해봐야 하는 질문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이러한 질문들을 던지면서 역사적 사례와 경제이론 및 게임이론, 그리고 핵전쟁의 전략 등을 통해 전쟁의 불확실성을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준다.
역사와 테크놀로지, 그리고 경제에 관심이 많은 저자는 공학, 수학, 경영학을 공부했고 40년 넘게 군사와 전쟁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고 [군사경제학 3부작] 첫 번째 책인 『전투의 경제학』에 이어 두 번째 책인 『전쟁의 경제학』을 펴냈다. [군사경제학 3부작] 마지막 책으로 무기를 만드는 군수산업과 무기 자체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서인 『무기의 경제학』도 곧이어 출간할 예정이다.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에서 석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기계공학과에서 박사학위
프랑스 인시아드 경영대학원 MBA 취득
역사와 기술, 그리고 경제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 공학과 수리과학 그리고 경제경영학을 모두 전공했으며, 특히 40년 가까이 역사와 전쟁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았다.
저서 : 『전투의 경제학』, 『전쟁의 경제학』
들어가는 말
PART 1 전쟁에서 경제는 얼마나 중요한가?
CHAPTER 1_불협화음으로 가득 찬 전쟁과 경제의 이중주
CHAPTER 2_전쟁을 경제의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한 게임이론
CHAPTER 3_경제적 시각에서 바라본 전쟁 발발의 비효율성 퍼즐
PART 2 적이 더 강해지기 전에 공격해야 하는가?
CHAPTER 4_나폴레옹 이후 전통의 강국 프랑스와 도전자 프로이센의 악연
CHAPTER 5_예방적 전쟁의 발발 가능성에 대한 이론
CHAPTER 6_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의 발발과 결말
PART 3 불확실성 하에서 어떻게 전쟁할 것인가?
CHAPTER 7_양면 전쟁은 제1차 세계대전 때 독일에게 최악의 시나리오
CHAPTER 8_만취한 대령들이 내리는 최선의 공격 및 방어 전략
CHAPTER 9_탄넨베르크에서 러시아 1군을 방치하고 2군에 올인하다
PART 4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숨은 주인공은?
CHAPTER 10_신출귀몰하는 '유령사단'의 지휘관, 북아프리카에 가다
CHAPTER 11_아마추어 군인은 작전을, 프로페셔널 군인은 군수를
CHAPTER 12_사막의 여우 롬멜도 군수의 한계는 넘을 수 없었다
PART 5 선제공격의 이득이 전쟁을 일으키는가?
CHAPTER 13_꼬일 대로 꼬인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
CHAPTER 14_선제적 전쟁과 예방적 전쟁, 그리고 기습적 전쟁의 차이
CHAPTER 15_6일 전쟁과 욤 키푸르 전쟁에서 한 번씩 주고받다
PART 6 핵전쟁은 일어날 수 있는가?
CHAPTER 16_이래도 미쳤고(MAD) 저래도 미친(NUTS) 핵전쟁의 전략가들
CHAPTER 17_히로시마에서 쿠바 위기, 그리고 작전 오페라와 오차드까지
참고문헌